5월 24일 수요일 장전핵심뉴스및 브리핑
◆ 미국 증시
- DOW: 33,055.51p (-231.07p, -0.69%)
- S&P500: 4,145.58p (-47.05p, -1.12%)
- NASDAQ: 12,560.25p (-160.53p, -1.26%)
- 러셀2000: 1,787.72p (-7.67p, -0.43%)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35 (-0.76, -1.20%)
- MSCI 이머징지수 ETF: $38.69 (-0.61, -1.55%)
- Eurex kospi 200: 335.40p (-2.60p, -0.77%)
- NDF 환율(1개월물): 1,318.79원 / 전일 대비 5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177.44 (-37.59, -1.17%)
미 증시, 지정학적 리스크와 부채한도 협상 우려로 하락
미 증시는 부채한도 협상 기대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가 높아지자 하락 출발. 그런 가운데 공화당 일부 의원들이 6월 1일 데드라인에 대한 의문을 표명하자 공화당의 협상 지연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하락 요인. 여기에 장 중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 간의 마찰이 확대되는 과정 속 미국 폭격기와 러시아 전투기간 교전 직전까지 갔다는 소식에 낙폭 확대. 결국 시장은 여러 하락요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을 내놓는 모습으로 하락 마감
MSCI 한국 지수 ETF 1.20%, MSCI 신흥 지수 ETF는 1.55%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18.79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5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77% 하락. KOSPI는 0.7%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부채한도 협상 지연 우려 및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의 직접적인 교전 우려 등을 빌미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한국 증시는 전일까지 7거래일 연속 상승해 차익 실현 욕구가 높기 때문. 더 나아가 미국의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 지표 결과 또한 한국 증시에 부담. 이는 한국 수출 부진의 원인이며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를 높일 수 있기 때문.
물론, 미국 부채 한도 협상은 결국은 타결되는 협상이라는 점에서 채무 불이행 사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고, 미국과 러시아간 직접 교전 또한 가능성이 크지 않음.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이슈가 시장에 영향을 줬지만, 연속성은 크지 않음.
다만, 이러한 하락 요인에 주식시장이 특히 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종목군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점은 주목해야 함. 결국 시장은 이를 빌미로 차익 실현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0.7% 내외 하락 출발 후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특징 종목: 대형 기술주 장 후반 매물 출회되며 하락 확대
팩웨스트 뱅코프(+7.74%)는 케네디-윌슨 홀딩스(+1.29%)에 주요 대출 프로젝트를 매각해 재무 건전성을 확보했다는 소식에 전일 19.6%에서 이어 오늘도 추가적으로 급등. 코메리카(+2.04%), 자이언스 뱅코프(+4.63%), 키코프(+1.75%) 등도 전일에 이어 동반 상승 지속. 웨스턴 얼라이언스 뱅코프(-1.24%)는 전일 급등 후 오늘은 하락.
셰브론(+2.89%)은 UBS가 유가 반등 가능성을 이유로 투자의견 상향 조정하자 상승. 엑슨모빌(+1.36%) 등 에너지 업종도 동반 상승. 스노우플레이크(-1.85%)는 실적 발표를 앞두고 웰스파고가 낙관적인 전망을 언급하며 비중확대 등급을 재확인하자 상승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더불어 알파벳(-1.99%), MS(-1.84%), 엔비디아(-1.57%) 등 그동안 강세를 이어왔던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 매물 출회된 점도 특징.
브로드컴(+1.20%)은 애플(-1.52%)과의 반도체 칩 거래를 발표 후 상승했으며 애플도 강세를 보였으나 장 후반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화이자(+2.30%)는 전일에 이어 체중 감량 약품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로 상승 지속. 자동차 소매업체인 오토존(-5.97%)은 예상보다 부진한 매출과 재고 증가 등으로 하락. 오리얼리 오토모티브(-1.74%) 등도 동반 하락.
비자(-2.90%)는 설문조사를 통해 4월 지출이 크게 감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마스터카드(-2.80%)와 동반 하락. 메리어트(-2.94%), 라스베가스샌즈(-6.35%), 부킹닷컴(-2.16%)도 동반 하락.
🔶 전일및 당일 특징주
▶우크라이나 지원
원희룡 장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위해 폴란드 방문
(http://cuts.kr/lqpGN)
-우크라재건: 삼부토건, 에스와이, 디와이디, 에스와이, 대모, 현대에버다임
▶마약진단
국방부, 입영 신체검사에 마약 검사 추가
(http://cuts.kr/DjaoY)
-진단키트: 휴마시스, 바디텍메드,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녹십자엠에스
▶엔터테인먼트
하이브, 中 텐센트뮤직과 유통 계약…'문화 만리장성' 넘는다
(http://cuts.kr/yJfrx)
-엔터: 하이브,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피프티피프티: 그래디언트, 알비더블유 FSN,, 예스24
▶전기차
에코프로비엠 '증설 또 증설'…배터리 양극재 국내외 투자
(https://url.kr/vbi68o)
-자동차: 아진산업, 명신산업, 라이콤, 에스엘,
-2차전지: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 자이글, 코스모신소재, 이브이첨단소재, 강원에너지, 미래나노텍,
-페라이트: 삼화전기, 삼화전자
-전기차충전: 휴맥스홀딩스, 디스플레이텍, 휴맥스
▶반도체
“韓은 세계 반도체 장비 3대 거점”… ASM, 화성에 1300억 투자 신규 생산라인 설립
(http://cuts.kr/Gzaer)
-반도체: 비씨엔씨, 한미반도체, 미래반도체, ISC, 마이크로투나노, 하나마이크론, HPSP, SFA반도체
-PCB: 티엘비, 이수페타시스
▶AI
이스트소프트, MS 초청받아 美 본사 방문…AI휴먼 비즈니스 논의
(http://cuts.kr/Rsdln)
-AI: 이스트소프트, 씨유박스, MDS테크, 셀바스AI
-양자: 엑스게이트
🔶시간외 특징주
▶동부건설은 4,858.23억원규모 교량건설및 도로확장사업 공시로 시간외 상한가
▶미래산업은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및 경영권 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로 (+7.87%)
▶소룩스는 아라바이오 우회상장 가능성에 상승(+6.12%)
▶STX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와 762.35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5.93%)
▶4,732.00억원 규모 신규시설투자 결정 공시로 에코프로 그릅주 상승에 2차전지 테마 동반 상승
에모프로비엠(+4.52%), 코스모화학(+3.31%), 에코프로(+2.98%), 에코프로에이치엔(+2.52%)
▶웅진씽크빅은 대만 폭스링크 그룹, studio A inc. 와의 ARpedia 제품 공급 계약 체결 공시 (+3.15%)
▶하이브는 장마감후 중국 텐센트 뮤직과 음원 유통 계약을 공시 (+3.11%)
▶에스와이는 우크라이나 재건 모멘텀 지속에 (+3.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63275?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825457?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60129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94078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87599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92735?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602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03883?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274782
https://www.news1.kr/articles/?5056216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52348631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4005051091?section=news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4016000075?section=news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52347861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4008100071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1236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523000965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OWVKGG1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94025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3150200017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93020.html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8274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016259?sid=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