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1%, 나스닥 -0.9%, S&P500 -0.62%, 야간선물 -0.28%, 원달러환율 1261원(+7원), 반도체지수 -1.7%, 국제유가 74달러(+1.75%)
-미국 증시는 지난주 고용지표 충격 야파가 지속되며 기술주 중심 히락 마감. 고용 호조로 임해 미국 기준금리가 5월까지 인상되고 5.25%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4.1%에서 이틀만에 4.4%까지 급등. 금리 상승 부담에 미국 달러 급등하며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제외 전업종 하락. 특히 반도체가 부진. 델 컴퓨터가 PC수요 부진으로 인력 구조조정을 언급한점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마이크론 -3.89%, 인텔 -4%, AMD -2.8% 등 주요 반도체주 하락. 테슬라 +2.52% 싱승하며 최근 강세 기조를 이어가는 모습. 골드만삭스, 보잉 등 전통주는 강보합. 상대적으로 비기술주들은 견조
-국내증시는 약보합 출발 전망. 이틀째 하락세를 보일 전망. 미국의 달러가 급등했고 국채금리가 크게 상승하고 있어 국내 반도체, 기술주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 미국의 고용호조가 긴축 이슈를 다시 자극하는 모습
-경기는 연착륙이고 물가는 급격히 둔화되는 골디락스를 시장은 기대하고 있지만 이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는 부분. 하지만 투자자는 미래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투자를 해야 함. 주가는 현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
-일단 미국의 연착륙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 제조업은 여전히 부진하나 서비스업 고용이나 서비스업 PMI, 신용카드 지출 등 미국의 경기는 예상보다 견조한 상황. 미국의 기업과 가계의 부채도 낮은 상황. 최근 모기지 금리도 하락해 주택 가격 하락도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있음
-물가는 급격히 하향 안정화될 요인이 다수 있음.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유가, 천연가스), 공급망 이슈 해소(컨테이너선 운임지수, 중고차 가격 하락), 지난해 2분기부터 시작된 주택 가격 하락(주택 가격지수는 주거비에 1년정도 선행), 시간당 임금 상승률의 완만한 둔화
-ISM 가격지수 하락(소비자물가에 6개월 선행), 중국 생산자물가 하락(미국 소비자물가에 3개월 선행) 등의 선행지표들이 대부분 피크아웃을 찍고 둔화되고 있어 미국 소비자 물가의 하향 안정화도 결국 시간 문제
-특히 작년 6월 9.1%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던 만큼 기저가 높다는 점도 올해 물가 안정화의 원인. 하반기는 중국 인플레 우려가 있어 지켜봐야 하나 상반기 급격한 물가 둔화는 가능한 부분
-물가의 지속적인 안정이 이루어진다면 고용과 서비스업 경기 등이 이처럼 호조를 보여도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수 있음. 다만 물가가 꺾이지 않는다면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2월 14일 발표될 미국 CPI가 중요
-단기적으로 2500에 대한 저항속(밸류 부담이 있음. 1분기 고점은 2590선 정도, PBR 0.95배로 판단) 쉬어가는 장세 전망. 달러가 강해진만큼 외국인 매도도 당분간 출회될 전망
-조정을 이용해 주식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전략으로 대응. 2400포인트가 이탈되면 더욱 좋은 구간으로 판단함. 단기적 조정 구간에서 급하게 대응할 이유는 없음
-점진적 우상향이 이어질 시장을 염두해두고 앞으로 나아질 산업이나 기업, 아니면 현금흐름이 우수한 고배당 저평가주 등에 대해 저점 분할 매수하는 전략으로 대응
🔶 전일장 특징주
▶️2차전지
삼성SDI, 업계 최초 '리튬에어 배터리' 연구개발 착수
(http://cuts.kr/aOmzG)
-2차전지: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삼기이브이, 포스코케미칼, LG에너지솔루션, 미래나노텍, 엘앤에프
▶️토큰증권
신한투자증권, 토큰 증권 협의체 ‘STO 얼라이언스’ 구축
(http://cuts.kr/uPArB)
-STO: 제주은행, sk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갤럭시아머니트리, 갤럭시아에스엠, 서울옥션, 핑거
▶️AI
마인즈랩 일본진출, ‘maum.ai’기반 AI휴먼으로 일본 케이터링 박람회‘HCJ2023’ 참여
(http://cuts.kr/LkuqZ)
-네이버: 오브젠, 나무기술, 씨이랩, 플리토
-AI: 비트나인, 마인즈랩, 코난테크놀로지, 솔트룩스, 셀바스AI, 줌인터넷, 나무기술, 한컴위드
-AI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미래반도체, 가온칩스, 텔레칩스
-KT: KTis, KTcs, 케이티알파
-바이두: 와이더플래닛, 소프트센
-음악AI: NHN벅스, 지니뮤직
-데이터: 데이터솔루션, 모아데이타
▶️XR
삼성, 구글과 퀄컴 손 잡고 '신형 XR 디바이스' 만든다
(http://cuts.kr/GtFRw)
-메타버스: 엔피, 스코넥, 나무가, 선익시스템, 맥스트, 알체라, 자이언트스텝, 포바이포, 코세스, 웨이버스
▶️로봇
현대차 보스턴다이내믹스 '스폿', LA '경찰 로봇견' 투입 첫 번째 관문 통과
(https://url.kr/r851js)
-고스트로보틱스: 다믈멀티미디어, 소니드, 알파홀딩스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비비테크, 뉴로메카, 로보스타, 로보티즈
-엑스블: 푸른기술
▶️애플페이
애플페이 상륙…카드업계 점유율 경쟁 재점화
(http://cuts.kr/KJost)
-애플페이: 한국정보통신, 이루온, 에이텍티앤, 하인크코리아, 한국전자인증
▶️우주항공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한국 제4이통사 도전하나
(http://cuts.kr/ldCPD)
-우주항공: AP위성, 쎼트렉아이, 하이즈항공,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컴퍼니케이
▶️콘텐츠
위메이드 ‘미르M 글로벌’, 초반 흥행 성공…동접자 9만명 돌파
(http://cuts.kr/PaXAi)
-OTT: SAMG엔터
-게임: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미중갈등
美, 중국 정찰 풍선 격추…F-22 스텔스 전투기 작전수행
(https://url.kr/xnp3j6)
-희토류: 유니온머티리얼, 유니온, 티플랙스
🔶시간외 특징주
▶에이프로젠, 삼성바이오에피스 국내 첫 위탁 생산업체 선정 추진 속에 그룹주 상승
에이프로젠H&G, 에이프로젠
▶비트나인 - 미 실리콘벨리를 필두로 글로벌 R&D센터 확장 소식속에 정규장 이어 본장에서도 상승
▶티플랙스 - 미중 갈등 속 중국 정찰풍선 격추에 따른 갈등속에 희토류주 강세속 티플랙스 시간외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19408?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720765?sid=104 https://www.news1.kr/articles/4944272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9359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39481?sid=101
3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611204745517&vgb=aut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15613?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37378?sid=104&lfrom=cafe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302078576Y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53038?sid=101&lfrom=cafe
https://v.daum.net/v/2023020703052786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47985?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47982?sid=101&lfrom=caf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79909?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582739?sid=100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808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64880?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07441?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41060?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65206?sid=101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719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608553153435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14006635507896&mediaCodeNo=257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NA5IB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75232?sid=101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3393
http://theviewers.co.kr/View.aspx?No=27029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