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금리인하 기대 속 1.5% 상승 후 매물 소화하며 상승 반납
미 증시는 금융주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상승. 특히 예상보다 높은 생산자 물가지수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소비 심리지수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자 반도체 등 기술주가 강세를 보인 점이 특징. 더 나아가 금리 인하 기대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증가 소식에 전기차 관련주도 상승하며 주요 지수는 1.3~1.5%대 상승.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주간옵션 만기 등을 이유로 매물 출회가 반도체와 대형 기술주 등을 중심으로 유입되며 상승 반납하며 마감 (다우 +0.62%, 나스닥 +0.63%, S&P500 +0.55%, 러셀2000 +1.09%,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33%)
*변화 요인: 물가 둔화, 소비 불안, 실적 시즌 특징
6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예상과 달리 전월 대비 0.06% 하락하며 물가의 안정을 찾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생산자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며 예상을 상회. 그러나 식품과 에너지, 그리고 무역서비스를 제외한 핵심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에서 보합으로 둔화돼 물가 안정이 진행 됐고, PCE에 반영되는 일부 품목도 안정을 찾음. 전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후 모건스탠리를 비롯해 일부 투자회사들은 연준이 주목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에 대해 전월 대비 0.08% 에서 0.21%로 상향될 것으로 전망 했지만,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 후에는 0.16% 상승으로 하향 조정. 이렇듯 물가 안정 기대가 높아지자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주가지수 특히 전일 낙폭이 컸던 종목군의 강세가 진행
한편, 미시간대가 발표한 소비자 심리지수는 지난달 발표된 68.2나 예상했던 68.5를 하회한 66.0으로 발표. 현재 상황지수와 기대지수 모두 둔화돼 미국 소비 위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더불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에서 2.9%로 하향 조정되는 등 소비자들은 지속적으로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예상. 특히 절반이상의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의 물품에는 거부감을 느끼는 등 합리적인 소비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줌. 이렇듯 미국 소비 둔화 우려를 높인 소비자 심리지수가 위축되자 이에 달러 약세가 확대되고 금리의 하락이 좀더 진행. 이에 미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본격적인 상승을 확대.
이런 가운데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시작. 시장 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현재 S&P500 기업 중 5%가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 중 5년 평균을 상회한 81% 기업들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그러나 규모는 4.1%(5y 평균 8.6%) 개선에 그쳐 지난 2022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발표. 결국 현재 발표된 기업들은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결과를 대부분 내놓고 있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아 현재 주가가 합당한지 불안이 확대. 그럼에도 S&P500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 대비 9.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기대 또한 높은 수준. 그렇기 때문에 이번 실적 시즌은 예상 상회는 당연하고, 더 높은 수준을 기록해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특징 종목: 전기차 관련주 강세
테슬라(+2.99%)는 하락 출발 했지만, 8월 8일 행사에 대해 머스크가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언론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으로 언급하자 시장 일각에서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 전환. 더불어 UBS가 과도한 상승을 이유로 매도 의견으로 하향 조정 했지만, 미즈호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고, 6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13% 증가(중국 +60%, 유럽 -7%, 미국 +6%)했다는 소식도 긍정적. 리비안(+8.05%)도 미즈호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강세. 루시드(+25.00%)도 최근 2분기 인도량이 강력하다는 점이 부각되자 강세. 더 나아가 꿈의 전지라 일컬어지는 전지를 발표하며 30% 급등 했던 퀀텀스케이프(+16.86%)가 오늘도 크게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전기차 관련주도 금리 인하 기대에 강세.
엔비디아(+1.44%)는 벤치마크에서 AI 산업에 대한 기대 등을 반영하며 목표주가를 135달러에서 170달러로 상향 조정하자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상승. 인텔(+2.96%)은 최고 기술책임자가 AI, 사어버보안 등 소프트웨어 매출이 2027년까지 1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강세. 이는 2021년 1억달러에 불과한데 10배의 증가를 전망. 시장은 전체 매출액(약 500억달러)에 비해 의미 있지는 않지만, 관련 매출은 다양한 AI 칩을 구동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영향. 마이크론(+2.55%)등 여타 반도체 업종도 우호적. 그렇지만, 장 마감 앞두고 브로드컴(-0.31%), AMD(-0.18%)등은 매물 출회가 진행되며 하락 전환.
메타 플랫폼(-2.70%)은 일부 보고서에서 온라인 광고 감소 우려가 높다고 발표하자 하락. 알파벳(-0.28%)도 하락 전환. JP모건(-1.21%)은 예상을 상회한 결과에도 신용손실 충당금이 증가했고, 순이자 마진이 예상을 소폭 하회하자 하락. 씨티그룹(-1.81%)도 예상을 상회한 실적에도 충당금 증가와 순이자 마진이 예상을 소폭 하회하자 하락. 웰스파고(-6.02%)는 대출 추정치 부진과 순이자 마진 둔화 소식에 하락. 전일 금리 인하 기대 속 급등 했던 웨스턴 얼라이언스(+0.46%)등 지역은행들도 대형 은행주 실적 발표 후 매물 소화
선파워(+5.91%), 솔라엣지(+5.82%), 선런(+7.03%), 엔페이지 에너지(+6.86%)등 태양광 관련주는 금리인하 기대에 강세. 퍼스트솔라(-0.09%)는 장 막판 하락 전환. GM(+2.25%), 포드(+4.16%)등 자동차 업종과 홈디포(+1.69%), 로이어(+1.88%)등 주택 개량 업종, DR호튼(+2.68%), 레나르(+2.60%)등 주택 건설 업종, 아메리칸 타워(+1.65%), 리얼티 인컴(+1.36%)등 리츠 금융회사들도 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하며 강세.
*한국 증시 관련
MSCI 한국 지수 ETF 0.29% 하락했지만, MSCI 신흥 지수 ETF는 0.41%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33% 상승했고, 러셀2000지수는 1.09%, 다우 운송지수는 0.60% 상승. 야간 선물은 0.85% 상승했지만, 장 마감 미 증시 상승 축소는 반영하지 않은 상태. 금요일 1,379.60원으로 마감 했던 달러/원 환율은 야간시장에서 달러 약세를 반영하며 1,375.7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73원을 기록
*FICC: 국채 금리, 9월 금리인하 반영하며 단기물 중심으로 하락
국제유가는 드라이빙 시즌 가솔린 소비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하락. 특히 올해는 대규모 허리케인이 활발하게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에 시추시설, 정유시설 등 국제유가 상승과 하락 요인 모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도 투자 심리 위축 요인. 특히 관련 기후는 결국 가솔린 수요 둔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이 부담. 미국과 유럽 천연가스는 폭염 가능성을 반영하며 수요 증가 기대로 상승
달러화는 물가 하향 안정과 경기 침체 우려가 유입되며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 이러한 지표 결과는 9월 금리인하 기대를 확실시 하기 때문. 한편, 파운드화가 노동당의 정권 장악 후 영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유입되며 강세가 지속적으로 진행된 점도 달러 약세 요인. 유로화는 프랑스 우려에도 경기에 대한 자신감에 강세. 엔화는 정부의 개입으로 달러 대비 강세가 지속. 역외 위안화는 수출이 견고 했지만, 수입 둔화를 반영하며 달러 대비 약세. 그러나 인도 루피화, 브라질 헤알, 멕시코 페소, 호주 달러 등 신흥국과 상품환율은 달러 대비 강세
국채 금리는 예상을 상회한 생산자 물가지수에도 불구하고 핵심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상보다 부진하자 하락. 여기에 미국 소비자 심리지수가 예상을 하회하는 등 소비 둔화 우려가 높아진 점도 금리 하락 요인. 특히 9월 금리인하 기대를 높아지자 단기물 중심으로 하락폭이 컸음. 주간 단위로도 단기물의 하락이 컸는데 결국 경기 둔화와 물가 하락을 반영하며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확실시 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금은 전일 강세를 뒤로하고 한 때 2,400달러를 하회하기도 했지만, 장 후반 경기 둔화 우려 등을 반영하며 달러화가 약세를 진행하자 낙폭이 축소되며 결국 소폭 하락한 2,419.40달러로 마감. 구리 및 비철금속은 LME 시장의 재고 감소 소식에 상승. 다만, 중국의 수출입 통계에서 수입이 감소로 전환해 상승은 제한. 밀은 여전히 러시아 작황 개선, 미국 겨울밀 수확 확대 등을 반영하며 하락. 대두와 옥수수 등도 부진.
07/15 주간 이슈 점검: 미,중 실물지표, 실적, 연준, 중국
*총론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진행되는 데 TSMC, ASML 등 반도체 업종의 실적과 그 외 넷플릭스 등도 있음. 최근 시장은 예상보다 견고한 결과는 당연시되고 있고 그 이상으로 개선되어야 현재 주가가 합당함을 이야기 하고 있음. 여기에 경제지표 부진을 감안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확대돼 경기 침체 이슈도 반영이 예상. 시장 참여자들은 지수의 상승 여부보다 종목에 주목하는 종목 장세가 당분간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 즉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주식 변동성 확대가 이번주 시장의 특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
*실적 시즌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시장 조사업체 팩트셋은 S&P500 기업들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3%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 이는 2022년 1분기(9.4%) 이후 가장 많이 증가한 분기로 기록 될 것이라고 언급. 그러나 이번 분기 실적 시즌은 여느때보다 중요한 데 S&P500 기업들 중 M7 종목을 제외한 493개 기업은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성장하는 분기지만, M7 종목은 2개분기 연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BOA 등 분석). 그동안 주식시장이 M7 종목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왔던 만큼 성장세가 꺽인 M7 종목군의 주가가 어떤 영향을 줄 지 주목하고 있기 때문
*중국
15일부터 18일까지 경제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회의인 중국의 ‘3중전회’가 개최. 1중전회부터 7중전회까지 있는 정치국 회의중에 3중 전회는 경제, 정치 등 가장 중요한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공식화 하기 때문에 중요. 올해는 팬데믹 이후 위축된 경제에 대한 논의 특히 부동산 문제와 미-중, 미-유럽 갈등 등의 내용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JP모건을 비롯해 많은 투자자들은 공급망 확보, 도-농격차 축소, 서방과의 긴장 확대 등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 이는 시장의 기대보다는 약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주를 이룸. 물론, 일부 중화권 분석은 이번에 부동산 정책 등을 내놓으며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들을 기대하는 등 엇갈린 양상.
*미-중 실물 지표
미국의 소매판매는 지난 4월 전월 대비 0.2% 감소한 가운데 5월에는 0.1% 증가. 6월 소매판매에 대해 시장 참여자들은 0.0%를 전망. 그러나 모건스탠리 등 일부 투자회사는 고용 위축, 자동차 판매 부진, 상품 시장 하락 등을 감안 전월 대비 0.3% 하락 했을 것으로 전망. 대체로 미국 소비 둔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산업생산은 0.7%에서 0.3% 증가로 둔화 예상. 중국 실물 지표는 대부분 전월 보다 위축될 것으로 예상. 이 경우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를 더욱 자극할 것으로 예상
*연준
수요일 연준은 7월 FOMC에서 참고할 베이지북을 발표하는 데 지난번 경제에 대해서는 약간 증가했다고 언급. 더불어 가격 결정력이 소비자에게 넘어갔다고 언급해 물가 하락, 기업 이익 부진 등을 시사. 이번에도 경기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데일리 총재의 발언 처럼 고용시장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할 가능성이 높음. 이 외 파월을 비롯해 많은 연준 위원들이 ‘블랙아웃’을 앞두고 연설이 진행되는 데 최근 6월 소비자 물가지수 등을 언급해 과거보다는 좀더 비둘기파적인 언급이 많아 질 것으로 기대.
07/15(월)
중국: 2Q GDP,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유로존: 산업생산
미국: 뉴욕연은 지수
정치: 공화당 전당대회(~18), 중국 3중전회(~18)
보고서: 미 농무부 작물상태 보고서
발언: 파월 연준의장,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실적: 골드만삭스(GS), 블랙락(BLK)
07/16(화)
독일: ZEW경기기대지수
미국: 소매판매, 주택시장지수
기업: 아마존 프라임데이(~17)
발언: 쿠글러 연준 이사, 루시드(LCID) CEO, ZOOX CEO(아마존 로보택시 컨셉)
실적: 유나이티드헬스(UNH), BOA(BAC), 모건스탠리(MS)
07/17(수)
일본: 단칸제조업지수
미국: 주택착공, 허가건수, 산업생산
채권: 미 20년물 국채 입찰
보고서: 베이지북
파생: WTI 6월물 만기
발언: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경제전망)
실적: ASML(ASML), J&J(JNJ), 프로로직스(PLD), US 방코프(USB), 킨더모간(KMI), 알코아(AA)
07/18(목)
미국: 경기선행지수
은행: ECB 통화정책회의
발언: 라가르드 ECB 총재, 메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센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미쉘 보우면 연준이사
실적: TSMC(TSM), 넷플릭스(NFLX), 노바티스(NVS), 에봇(ABT),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DR호튼(DHI), 키코프(KEY), 웨스턴 얼라이언스(WAL)
07/19(금)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발언: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
실적: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XP), 슐륨버거(SLB), 트레블러스(TRV), 할리버튼(HAL)
07/15 트럼프 피격의 영향
트럼프가 유세 도중 총격을 받아 부상을 입었음. 이후 트럼프의 대처에 많은 미 국민들은 지지를 선언하고 있으며 11월 있을 대통령선거에서 승리 가능성이 높아짐. 이번 사건 이후 베팅사이트에서는 트럼프 승리 가능성이 5~10% 내외 증가한 65~70%를 기록. 물론, 여전히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압도적인 트럼프 우위가 진행되지 않고 있고, 트럼프가 법원 판결에서 유죄를 받을 경우 공화당 일부가 이탈할 것이라는 여론 조사 결과도 있음. 그럼에도 이번 사건으로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기에 이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음.
다만, 금융시장은 1차 토론 이후 이미 상당부분 반영한 상태라는 점에서 시장 참여자들은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 금리 상승, 주식시장 불안이 진행되고, 중기적으로 금리 인하를 반영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 장기적으로는 경기 침체를 반영해 달러 강세, 금리 하락, 주식시장 하락 등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관세
모든 수입품에 관세 10% 부과 및 대중국 관세를 최대 60%까지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이 경우 인플레이션이 상승해 1인당 약 1,700달러를 더 지출해야 하며, 이는 약 68만 4,000 개의 일자리와 동일한 수준이라는 분석도 있음. 결과 미국 소비 둔화와 보편적 관세 부과로 인한 각국과의 무역 갈등이 심화. 미-중 갈등 뿐 아니라 미-EU 간의 무역갈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이는 미국 경기 침체를 가속화 할 수 있어 주목
국방
트럼프는 NATO 회원국들의 GDP 대비 2% 방위비 지출 합의 미 이행 시 집단 방위 의무를 지키지 않겠다고 언급. 특히 미국의 NATO 탈퇴 가능성 언급도 진행 중이라 안보 이슈가 확대될 가능성 높음. 이 경우 글로벌 방위비 지출 확대. 만약 GDP 대비 2% 지출을 위해서는 전체 회원국이 약 910억 달러 추가 지출 필요. 미국의 NATO 탈퇴한다면 냉전시기 만큼 확대한 3%로 증액해야 됨. 특히 America First 정책을 더욱 확대할 경우 유럽의 단결도 확대돼 미-EU 마찰이 경제 뿐 아니라 정치 외교에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17년 TAX CUT 법안 연장
2025년 말 만료 예정된 2017년 Tax Cuts and Jobs Act 제정을 연장할 것으로 예상. 즉 개인소득세 최고세율 37% 유지 및 연장. 이 경우 정부 부채가 10년 동안 4.6조 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 이 경우 채권 발행이 증가해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국채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
규제완화
401K(확정기여형 기업퇴직연금) 투자의 ESG 규제 요건 폐지, 특별 변호사팀을 구성하여 불필요한 연방 자동차 규제 파악, 법인세율 현행 21%→15% 인하, IRA 폐지, EPA(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예산 삭감, 그린뉴딜 등 전기자동차 의무화 및 자동차 탄소 배출량 감축 정책 폐지 파리기후협약 탈퇴 등을 이야기하고 있음. 목표는 친환경 정책 폐지를 통한 저물가 유도인데 이 조치로 재정 적자 확대와 친환경 관련 산업 고용 불안 진행 예상.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805986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804471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212818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21313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90104?lfrom=caf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27303?lfrom=caf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662411?lfrom=cafe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71208594422622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5361
https://v.daum.net/v/2024071503033275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12173?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11950?sid=104
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51332
https://www.etoday.co.kr/news/view/237971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6640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34460?lfrom=cafe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5005600075?input=1195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606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611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493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492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425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