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 DOW: 37,983.24p (-475.84p, -1.24%)
- S&P500: 5,123.41p (-75.65p, -1.46%)
- NASDAQ: 16,175.09p (-267.11p, -1.62%)
- 러셀2000: 2,003.17p (-39.43p, -1.93%)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61 (-2.31, -3.56%)
- MSCI 이머징지수 ETF: $40.53 (-0.95, -2.29%)
- Eurex kospi 200: 364.10p (-5.25p, -1.42%)
- NDF 환율(1개월물): 1,378.68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745.05 (-161.32, -3.29%)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038 (+0.756, +0.72%)
- 유로/달러: 1.0638 (-0.0088, -0.82%)
- 달러/엔: 153.07 (-0.20, +0.13%)
- 파운드/달러: 1.2447 (-0.0106, -0.8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8966% (-6.4bp)
- 5년물: 4.5584% (-7.3bp)
- 10년물: 4.5216% (-6.5bp)
- 30년물: 4.6294% (-4.9bp)
- 10Y-2Y: -37.50bp (0.06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22 (+0*04 , +0.14%)
- 5YR T-Notes: 105*18 1/4 (+0*11 3/4, +0.35%)
- 10YR T-Notes: 108*22 (+0*18 1/2, +0.53%)
- US T-Bonds: 116*07 (+0*31 , +0.84%)
- Ultra US T-Bonds: 123*10 (+1*6 , +0.9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5.66 (+0.64, +0.75%)
- 브렌트유: 90.45 (+0.71, +0.79%)
- 금: 2,374.10 (+1.40, +0.06%)
- 은: 28.33 (+0.08, +0.28%)
- 아연(LME, 3M): 2,828.50 (+70.00, +2.54%)
- 구리: 425.85 (+0.55, +0.13%)
- 옥수수: 447.25 (+6.25, +1.42%)
- 밀: 570.75 (+4.50, +0.79%)
- 대두: 1,186.75 (+14.25, +1.22%)
- S&P500,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50일 이동평균선 장중 하회
- 다우지수, 주간 2.4% 하락하며 2023년 3월 이후 최대 주간 하락률 기록
- VIX지수 16% 넘게 상승하며 2023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
미 증시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며 차익실현 및 안전자산 선호 현상 강화에 하락. 복수의 채널을 통해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조만간’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에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 이에 시장은 차익실현 및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하방압력이 커짐. VIX지수가 16% 넘게 상승한 가운데, S&P500 지수는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50일 이동평균선을 장중 하회. 다우지수는 주간 2.4% 하락하며 지난해 3월 이후 최대주간 하락률을 기록. 한편, 4월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는 77.9로 악화하였고 기대인플레는 상승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3.6%, MSCI 신흥 지수 ETF는 2.3%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79원으로 2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1.4% 하락. KOSPI는 1% 내외 하락 출발 예상. 이란-이스라엘 간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 이로인해 달러/원 환율은 2022년 11월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 유가도 함께 오르고 있어 ‘환율상승+유가강세’는 국내 수입물가 상승을 자극시켜 향후 국내 물가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울 가능성 있음. 또한 원화 가치의 약세는 역사적으로 증시에서의 외국인 수급에 네거티브하게 작용한만큼 당분간 환율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특징종목
S&P500의 전 섹터가 모두 하락한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으로 주간기준 모두 하락을 기록. JP모건(-6.5%)은 시장 예상을 상회 하는 1분기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올해 순이자소득(NIM)이 기대하는 것보다 약간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에 하락. 이날 실적을 공개한 웰스파고(-0.4%), 씨티그룹(-1.7%) 등도 하락. 블랙록(-2.9%)은 자산 순유입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 AMD(-4.2%), 인텔(-5.2%) 및 마이크론(-3.9%) 등 반도체株가 약세를 보였는데 WSJ는 중국이 올해 초 자국 최대 통신업체에 외국 프로세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 이는 미-중간 반도체 갈등이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 조에티스(-7.8%)는 애완동물 관절염 치료제의 부작용을 언급한 보도에 하락하며 2023년 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주가 하락. 아리스타 네트웍스(-8.5%)는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하향 소식에 약세. 애플(+0.9%)은 빅테크 중 유일하게 상승.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달러 및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임. 달러인덱스는 지난해 11월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106을 기록하며 3거래일 연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임. 이에 유로화, 캐나다 달러 등이 최근 5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였고 일본 엔화는 153.2엔을 기록하며 3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 또한 우리나라 원화도 달러대비 가파른 약세를 보이며 2022년 11월 초 이후 가장 높은 환율을 기록. 국제유가도 장 초반 상승하며 지난 해 10월 중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국제 에너지기구(IEA)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세계 석유 수요 증가 추정치를 일일 약 13만 배럴 줄인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반면, 국제 금 가격은 장중 온스당 2,450달러에 거의 근접하였으나 가격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보합권까지 떨어지며 2,374달러에 마감. 한편, 구리 선물가격은 장중 파운드당 4.33달 이상으로 상승하며 2022년 6월 이후 2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 하였으나 이후 차익실현에 4.26달러로 마감. 암호화폐도 약세를 보였는데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은 각각 7.5%, 4.1% 하락.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29543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490410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28429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2875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28553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72598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31934?lfrom=cafe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04149991b
https://www.news1.kr/articles/?538335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85477?lfrom=cafe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414511452?OutUrl=nave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25295?rc=N&ntype=RANKING&sid=001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2528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79369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480585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41507325815220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5618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5632
https://www.ajunews.com/view/20240414093843404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8978
https://www.news1.kr/articles/5382894
https://www.sedaily.com/NewsView/2D7WROQJF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149552i
https://www.mk.co.kr/news/musics/1098989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086736i
https://www.fnnews.com/news/20240414184749746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2398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