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 11일 목요일 장전뉴스

by 시장의중심 2024. 4. 11.
728x90
반응형

◆ 미국 증시
- DOW: 38,461.51p (-422.16p, -1.09%)
- S&P500: 5,160.64p (-49.27p, -0.95%)
- NASDAQ: 16,170.36p (-136.28p, -0.84%)
- 러셀2000: 2,028.39p (-52.41p, -2.5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3.35 (-2.52, -3.83%)
- MSCI 이머징지수 ETF: $41.23 (-0.57, -1.36%)
- Eurex kospi 200: 372.55p (-0.25p, -0.07%)
- NDF 환율(1개월물): 1,361.56원 / 전일 대비 6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790.35 (-80.46, -1.65%)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5.171 (+1.023, +0.98%)
- 유로/달러: 1.0746 (-0.0111, -1.02%)
- 달러/엔: 152.96 (+1.20, -0.78%)
- 파운드/달러: 1.2543 (-0.0135, -1.0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9688% (+22.6bp)
- 5년물: 4.6026% (+22.9bp)
- 10년물: 4.5435% (+18.2bp)
- 30년물: 4.6253% (+12.9bp)
- 10Y-2Y: -42.53bp (4.43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7   (-0*14 1/2, -0.44%)
- 5YR T-Notes: 105*07 1/4 (-1*00 , -0.94%)
- 10YR T-Notes: 108*06 1/2 (-1*21 1/2, -1.24%)
- US T-Bonds: 115*18   (-2*23 , -1.93%)
- Ultra US T-Bonds: 122*20   (-2*8 , -2.1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6.21 (+1.08, +1.27%)
- 브렌트유: 90.48 (+1.14, +1.27%)
- 금: 2,348.40 (-12.60, -0.53%)
- 은: 28.05 (-0.02, -0.07%)
- 아연(LME, 3M): 2,709.50 (0.00, 0.00%)
- 구리: 428.20 (-0.90, -0.21%)
- 옥수수: 445.75 (+3.25, +0.73%)
- 밀: 558.50 (+0.25, +0.04%)
- 대두: 1,164.75 (-10.75, -0.92%)

 

-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월대비 +0.3%, 전년대비 3.5% 기록

- 미 국채 2년물 +22bp, 10년물 +18bp 상승한 4.97%, 4.54% 기록

- 금리 상승에 민감한 부동산, 은행, 신재생 및 중소형주 약세

 

미 증시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우려에 국채수익률 급등, 달러 강세 나타나며 하락 마감. 특히, 미 주요 국채 수익률이 평균 20bp 가까이 상승하자 금리 상승에 민감한 부동산, 은행, 신재생 및 중소형주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CME FedWatch에 따르면, 6월 첫 금리인하 가능성은 전일 56%에서 현재 18.5%로 크게 둔화. 바이든 대통령 역시 금리인하가 늦어질 수는 있겠지만 연말 전에는 있을 것이라고 말해. 국제유가는 이란-이스라엘 간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로 1% 넘게 상승.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3.8%, MSCI 신흥 지수 ETF는 1.4%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61원으로 6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휴장. KOSPI는 1%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국 3월 CPI 쇼크로 인한 국채 수익률 급등과 달러/원 환율 상승은 부담이 될 전망. 이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안전자산 선호(Risk-off) 현상을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 다만, 9일 정부의 반도체 부양 정책과 TSMC의 호실적에 따른 엔비디아의 선전은 일방적인 투심 위축을 제한시킬 전망.

# 특징종목


엔비디아(+2.0%)는 올해 고점대비 10% 넘게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이날 TSMC(+0.6%)가 올해 첫 3개월 동안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매출을 달성했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 또한, 지난 3월 매출이 전년대비 30% 넘게 증가하며 2022년 11월(50%) 이후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 반면, S&P500 주요 섹터 중 부동산이 4% 넘게 하락하며 2022년 6월 이후 가장 큰 일일 낙폭을 기록. 퍼블릭스토리지(-6.0%), 아메리칸타워(-5.6%), 사이먼 프로퍼티(-3.1%) 등이 하락을 주도. 또한, S&P 은행 ETF(-4.1%)나 S&P 지역은행 ETF(-5.0%) 등 은행주도 큰 폭의 하락을 기록. 특히, 지역은행 ETF는 연중 최저 수준까지 하락하였는데 이글뱅코프(-7.1%), 메트로폴리탄은행(-6.4%), 뱅크오브마린(-4.4%) 등은 연중 최저가를 기록. 인베스코 태양광 ETF(-3.4%)도 약세를 보였는데 선노바(-11%), 맥슨솔라테크(-9.2%), 선파워(-7.6%) 등 크게 하락.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미국의 3월 CPI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국채 수익률이 상승.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은 각각 22bp, 18bp 상승하며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동시에 달러 인덱스도 1% 넘게 상승 하며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105.2를 기록. 이에 달러/엔 환율은 34년 만에 최저 수준인 153을 상회하였고, 달러/원 환율도 역외에서 1,360원을 상회하며 17개월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국제유가는 1% 넘게 상승하였는데, 미국 정보당국은 이란의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이 임박했다면서 지정학적 불안감이 가중되는 모습.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24502

 

美연준 위원들 "2% 인플레 확신 전까지 금리인하 부적절"(종합)

3월 FOMC 의사록 공개…"최근 물가지표, 확신 늘리는 데 기여 못해 "양적긴축 속도 조만간 늦추자는 데 공감대…2017∼2019년 사례 검토" 이지헌 특파원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71188

 

엔비디아 아성에 도전…인텔도 신형 AI 가속기칩 공개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알파벳이 전 날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가속기 칩에 도전할 수 있는 AI칩을 발표한데 이어 인텔(INTC)과 메타플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6922?sid=101

 

중국 찾는 韓관광객 '폭증'…"장자제 인기"

올해 들어 중국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이 대폭 늘어났다고 중국 관영 매체들이 보도했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10일 '중국 인바운드(국내) 관광 반등으로 1월 중국 내 한국 방문객이 909%나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22940?sid=101

 

알리·테무 등 중국 쇼핑몰 반년 새 국내 결제금액 2배 넘게 증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플랫폼(C커머스)의 결제금액이 6개월 동안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BC카드가 C커머스의 지난해 10월 결제금액과 지난달 결제금액을 비교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31218?sid=101

 

대만 3041조원 vs 韓 2549조원… 증시 시총 격차 21년만에 ‘최대’

AI붐에 반도체 랠리 지속 미국서 보조금 TSMC 급등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TSMC를 중심으로 글로벌 뭉칫돈이 대거 유입되면서 대만 증시와 한국 증시의 시가총액이 21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벌

n.news.naver.com

https://im.newspic.kr/o29LP6H

 

대만 TSMC, 1분기 영업이익 16.5% 증가…예상치 상회

강진 여파 속 공장 가동 정상회 속도…4월 실적 영향 주목 TSMC[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im.newspic.kr

https://im.newspic.kr/NGK9d0z

 

전세계 ‘금 사재기’ 열풍…사상 최고치 경신

[사진=연합뉴스 제공]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전세계에 금 사재기 열풍이 불고 있다. 10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가격은 온스 당

im.newspic.kr

https://im.newspic.kr/OvLGfBF

 

미 빅테크 전쟁...구글, AI용 최첨단 칩 공개...MS, 日 데이터센터에 4조

구글 로고와 인공지능(AI) 단어가 있는 사진으로 2023년 5월 4일(현지시간) 찍은 것./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기자 = 미국 빅테크(거대 정보통신

im.newspic.kr

https://im.newspic.kr/LLYe750

 

인텔, 차세대 AI칩 '가우디3' 공개...네이버와 공동연구소 만든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인텔 비전 행사에서 신형 인공지능 반도체 키노트(기조연설)를 진행했다. [사진=인텔] 인텔이 차세대 인

im.newspic.kr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5216

 

피치, 中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中 즉각 유감 표명(종합) - 연합인포맥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중국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했다. 중국 정부는 즉각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10일 다우존스에 따르면 피치는 중국의 장기 발행자 등급(IDR)을 'A+'로 유지하면

news.einfomax.co.kr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4/04/09/US6S7FSKCJFP7NEGV6MLQUXNLM/

 

젖소까지 감염시킨 조류인플루엔자...과학자들 “소→인간 전파 위험 낮지만 경계해야”

젖소까지 감염시킨 조류인플루엔자...과학자들 소→인간 전파 위험 낮지만 경계해야 과학자들, 소 간 전파와 바이러스 진화 방향 주목 포유류 많이 감염시킬수록 사람 감염 변종 나타날 위험 커

biz.chosun.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70916

 

"낸드플래시 봄이 왔다"…삼성 신무기로 '한계 도전'

삼성전자가 이달 중에 업계 최고 적층(저장공간인 ‘셀’을 쌓아 올린 것) 단수인 290단을 적용한 ‘9세대 V(vertical·수직)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한다. 내년엔 430단 제품 출시를 추진할 계획이

n.news.naver.c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41011304566475

 

베이비몬스터, '쉬시' 빌보드 메인 차트 입성…자체 최고 기록 경신 - 머니투데이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이하 YG)의 신인 걸그룹 베이비몬스터가 미국 빌보드 메인 차트에 입성했다. 9일(현지시간) 미국 빌보드가 발표한 최신 차트에 따르면 베이비몬스터의 첫 미니 앨범 타이틀

news.mt.co.kr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41104281137612

 

"정권심판론이 다 했다"…범야권 190석, 국민의힘 '참패' - 머니투데이

[the300](종합)與, 4·10 총선서 가까스로 개헌 저지선 지켜…野 후보 막말 논란·의혹 등 무력화민심이 윤석열 정권 심판을 택했다. 더불어민주당이 단독 과반, 범야권이 190석 이상으로 압승하며 정

news.mt.co.kr

https://www.mk.co.kr/news/stock/10987108

 

금투세 폐지 급제동 … 증시 안갯속으로 - 매일경제

野압승에 세법 개정 어려워져금투세 내년부터 시행될수도주주환원시 법인세 부담 완화 등밸류업 정책 추진 동력도 약화상속세 완화는 논의조차 힘들듯

www.mk.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