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 2일 화요일 장전뉴스

by 시장의중심 2024. 4. 2.
728x90
반응형

◆ 미국 증시
- DOW: 39,566.85p (-240.52p, -0.60%)
- S&P500: 5,243.77p (-10.58p, -0.20%)
- NASDAQ: 16,396.83p (+17.37p, +0.11%)
- 러셀2000: 2,102.84p (-21.71p, -1.0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6.60 (-0.51, -0.76%)
- MSCI 이머징지수 ETF: $41.15 (+0.07, +0.17%)
- Eurex kospi 200: 376.30p (+0.60p, +0.16%)
- NDF 환율(1개월물): 1,352.97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962.10 (+56.89, +1.16%)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969 (+0.482, +0.46%)
- 유로/달러: 1.0744 (+0.0001, +0.01%)
- 달러/엔: 151.65 (0.00, 0.00%)
- 파운드/달러: 1.2551 (-0.0001, -0.0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7053% (+8.5bp)
- 5년물: 4.3198% (+10.7bp)
- 10년물: 4.3092% (+10.9bp)
- 30년물: 4.4484% (+10.6bp)
- 10Y-2Y: -39.61bp (2.36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2*01   (-0*06 , -0.19%)
- 5YR T-Notes: 106*14 3/4 (-0*17 3/4, -0.52%)
- 10YR T-Notes: 109*29 1/2 (-0*28 , -0.79%)
- US T-Bonds: 118*16   (-1*2 , -1.61%)
- Ultra US T-Bonds: 126*06   (-2*6 , -2.1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3.71 (+0.54, +0.65%)
- 브렌트유: 87.42 (+0.82, +0.94%)
- 금: 2,257.10 (+18.70, +0.84%)
- 은: 25.07 (+0.16, +0.63%)
- 아연(LME, 3M): 부활절 휴장
- 구리: 404.85 (+4.15, +1.04%)
- 옥수수: 435.50 (-6.50, -1.47%)
- 밀: 557.00 (-3.25, -0.58%)
- 대두: 1,185.75 (-5.75, -0.48%)

 

- 3월 ISM 제조업 PMI, 18개월 만에 확장 국면 진입

- 달러인덱스 105선 근접, 미 국채 10년 수익률 4.3% 상회

- 국제 금 가격, 온스당 2260달러 상회하며 역사적 신고가 기록

 

미 증시는 예상보다 강한 제조업 지표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혼조세로 마감. 알파벳, 메타플랫폼스 등 대형 기술주 강세 속에 나스닥 지수는 장 막판 상승 반전에 성공. 그러나 국채수익률 곡선 전반의 상승 압력이 커지면서 중소형 주 지수인 러셀2000이 1% 가까이 하락하였고 부동산 섹터가 1.8%나 하락하였음. 강한 제조업 지표와 견고한 경제성장률은 금리인하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지지하며 오는 6월 금리 인하 전망이 일주일 전 64%에서 현재 57%로 소폭 하락. 국제 금 가격 상승은 지속하며 온스당 2260달러를 상회하였고 VIX지수는 5% 넘게 상승하며 최근 저점에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임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0.8% 하락, MSCI 신흥 지수 ETF는 0.2%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53원으로 3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2% 상승. KOSPI는 0.1~0.3% 하락 출발 예상. 달러/원 환율이 다시 1,350원을 넘어서 지난해 10월 중순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 당시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5%를 상회하며 달러 인덱스가 106.5~107.0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지금 달러에 대한 원화 민감도가 꽤 높다고 볼 수 있음. 이는 펀더멘털 외적 요인에 대한 가격 반영이 이뤄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음. 결국, 달러/원 환율의 방향성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특징종목

 

마이크론(+5.4%)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매출 증가 기대감에 목표주가를 상향하자 역사적 신고가를 재차 경신. 마이크로소프트(+0.9%)와 OpenAI가 1천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란 소식에 상승. 웨스턴 디지털(+3.8%)과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2.7%) 등도 상승. 3M(+6.0%)은 의료 사업부문을 솔벤텀(SOLV)으로 분사한 이후 상승하며 지난해 7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주가 기록. 테슬라(-0.3%)는 모델 Y 차량가격 인상과 3월 판매량 공개를 앞두고 약세. 월그린부츠(-9.9%)는 연간 실적 전망치 하향 소식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 주가는 1998년 8월 이후 최저 기록. 유니버셜 헬스 서비스(-4.0%)는 자회사 소송에서 5억 달러가 넘는 배상금 판결에 하락. 국채 수익률 상승에 보스턴 프로퍼티스(-3.1%), 에퀴닉스(-3.0%) 등 부동산 및 REITs 관련주 약세.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미 제조업 지표의 호조와 1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 상향 등의 영향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달러 강세와 국채 수익률 상승이 동반해서 나타나. 달러인덱스는 105선에 근접하였고, 10년 국채 수익률은 3개월 최고치인 4.34%에 근접한 4.31%를 기록. 특히,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더 크게 상승하는 ‘약세 스티프닝’ 나타나며 장단기금리차는 소폭 축소. 미국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생산량 감소와 다음 주 예상보다 많은 수요 증가 영향으로 4% 넘게 상승. 유가는 5개월 최고 수준 유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51626?lfrom=cafe

 

파월 "금리인하 서두르지 않겠다" 미증시 나스닥 제외 일제↓(상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발언하자 미국증시가 나스닥을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0.61%, S&P500은 0.20% 각각 하락했다. 이에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03989

 

시리아 이란영사관 폭격에 국제유가↑…WTI 5개월만에 최고

국제금값은 사상최고 경신…투자자들 美 금리인하 베팅 이지헌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중동 지역 지정학적 불안이 고조되면서 국제유가가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이날 뉴욕상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67456

 

BofA, HBM 3년내 27조원 시장…마이크론 목표주가 상향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파운드리 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의 목표주가를 종전 120달러에서 144달러로 올렸

n.news.naver.com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402000004

 

이스라엘,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 공격...최소 8명 사망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이스라엘이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는 이란 영사관을 공격해 이란 혁명수비대 고위 간부를 포함 최소 8명 사망했다고 현지 언론과 외신이 1일(현지시간) 보

newspim.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51677?lfrom=cafe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상에도 0.32% 하락

테슬라가 전기차 가격을 인상했음에도 0.32% 하락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거래일보다 0.32% 하락한 175.22달러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미국에서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81767?lfrom=cafe

 

미국 대선 누가이겨도 韓에 큰 위기... ‘K물류’ 확장 미리부터 고민해야

KMI 정책보고서 바이든,트럼프 집권 이후 자국우선주의 강화할 것 美정부, 공급망 인플레부담 외국물류기업 떠넘길 공산커 미국 내 네트워크 확장하고 캐나다, 멕시코로 보폭 넓혀야 “미국 대

n.news.naver.com

https://v.daum.net/v/20240401224500350

 

中 경기 회복?…"GDP 1분기 4.8%·2분기 5.1% 증가" 전망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약 4.8%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정부가 제시한 올해 경제 성장 목표 5%에 근접한 수치다. 1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v.daum.net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321852

 

'반도체 굴기' 노리는 中 메모리 3강, 설비투자액 90% 늘린다 [biz-플러스]

중국이 미국의 거센 반도체 압박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칩 설비 구축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메모리 ‘초격차’ 기술을 꺾으면서 한국·미국·대만·일본 등이 형성한 칩 동맹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65287

 

'엔비디아에 종속될 것인가' 車업계 내재화 러시...현대차 셈법 '복잡' [FN 모빌리티]

'엔비디아에 종속될 것인가. 견제망을 가동할 것인가.'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자율주행용 첨단 반도체 공급을 놓고, 갈림길에 섰다. 선택지는 두 가지다. 레벨 3이상 자율주행 반도체 분야에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81709?sid=101

 

[단독] 삼성, SSD 가격 25% 파격 인상…낸드 수요 대폭발

델·HPE 등 글로벌 서버 기업 AI 대응 스토리지 확충 본격화 2주 사이 SSD 품귀현상 발생 기업SSD 50% 점유 삼성전자 감산기조 종료·증산까지도 검토 최근 2~3주 사이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품인 기업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04705

 

[단독]코어라인소프트 ‘에이뷰 CAC’ 美 FDA 승인

코어라인소프트(384470)의 인공지능(AI) 기반 관상동맥석회화 자동 분석 솔루션 ‘에이뷰 CAC’(AVIEW CAC)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AI 기반 관상동맥석회화 자동 분석 솔루션 ‘에이뷰

n.news.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