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 DOW: 39,807.37p (+47.29p, +0.12%)
- S&P500: 5,254.35p (+5.86p, +0.11%)
- NASDAQ: 16,379.46p (-20.06p, -0.12%)
- 러셀2000: 2,124.55p (+10.20p, +0.4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7.11 (-0.19, -0.28%)
- MSCI 이머징지수 ETF: $41.08 (+0.15, +0.37%)
- Eurex kospi 200: 376.30p (+0.60p, +0.16%)
- NDF 환율(1개월물): 1,348.41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905.21 (+5.26, +0.1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556 (+0.208, +0.20%)
- 유로/달러: 1.0788 (-0.0040, -0.37%)
- 달러/엔: 151.40 (+0.07, +0.05%)
- 파운드/달러: 1.2622 (-0.0018, -0.1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6200% (+5.2bp)
- 5년물: 4.2125% (+2.6bp)
- 10년물: 4.2003% (+1.0bp)
- 30년물: 4.3427% (-0.8bp)
- 10Y-2Y: -41.97bp (4.18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2*07 3/4 (-0*04 , -0.13%)
- 5YR T-Notes: 107*00 1/2 (-0*05 3/4, -0.17%)
- 10YR T-Notes: 110*25 1/2 (-0*05 1/2, -0.16%)
- US T-Bonds: 120*14 (+0*01 , +0.03%)
- Ultra US T-Bonds: 129*00 (+0*01 , +0.0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3.17 (+1.68, +2.07%)
- 브렌트유: 87.00 (+1.47, +1.72%)
- 금: 2,238.40 (+28.00, +1.27%)
- 은: 24.92 (+0.23, +0.92%)
- 아연(LME, 3M): 2,439.00 (-56.50, -2.26%)
- 구리: 400.70 (+0.70, +0.17%)
- 옥수수: 442.00 (+15.50, +3.63%)
- 밀: 560.25 (+14.00, +2.56%)
- 대두: 1,191.50 (-0.50, -0.04%)
- 미 증시, PCE 물가지수를 앞두고 관망세에 혼조 마감
- 연착륙 기대감 속 다우와 S&P 500 신고가 랠리는 이어져
- 국제유가는 OPEC+의 감산 기조 속 양호한 경기에 따른 공급 부족 가능성 부각되며 강세
- 미 증시는 2월 PCE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에 제한적인 변동성 보이며 혼조 마감. 예상치를 상회한 미 4분기 GDP와 양호한 고용지표 결과 속 투자자들의 긍정적 투자심리는 지속. 소비자신뢰지수도 21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까지 반등하며 경기 기대감을 지지. 반면 강한 경기 전망에 따른 금리와 유가상승에 따른 금리 인하 시기 지연 우려 등에 PCE 물가지수 발표를 앞둔 경계감은 짙은 모습. 이에 다우지수와 S&P500은 재차 신고가를 기록했으나 나스닥은 하락 마감. (다우 +0.12%, 나스닥 -0.12%, S&P500 +0.11%, 러셀2000 +0.48%)
- 연착륙 가능성을 높인 경제지표. 미국의 4분기 GDP 3.4%로 잠점치 대비 0.2% 상향 조정. 소비자 지출과 고정투자, 정부 지출의 증가 영향. 소비자신뢰지수도 79.4로 예상을 상회했고 현황과 기대지수 모두 상승하며 경기 개선 기대감을 반영.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2.9%로 이전(3.0%)과 예상치(3.1%)를 모두 하회하며 점진적 물가하락 기대를 높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21만 건으로 지난주와 예상치를 모두 하회하는 등 견조한 고용시장도 지속.
# 한국증시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는 -0.28%, MSCI 신흥 지수 ETF는 +0.37% 상승. Eurex KOSPI 200 야간 선물은 +0.16%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11%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48.41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미국 시장이 2월 PCE 물가지수 발표와 휴장을 앞두고 관망세 보였지만 다우와 S&P500의 신고가 랠리가 이어진 점을 고려하면 한국 시장도 강보합권에서 시작할 것으로 전망. 전일 삼성전자가 낸드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감에 8만 원에 안착한 가운데 반도체 주도의 상승랠리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
# 특징종목
- 에스티로더(+6.28%)는 BofA가 회사의 수익모델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상향하자 상승. 엑슨모빌(+1.10%), 매러선 패트롤리움(+2.29%) 등 국제유가 강세 속 상승세 지속. 엔비디아(+0.12%)는 최근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에 3거래일 만에 소폭 반등. 테슬라는(-2.25%)는 샤오미의 전기차 출시 소식에 따른 경쟁 심화 우려 속 하락. 샤오펑(-1.66%), 니오(-3.64%) 등 중국 전기차업체도 하락 마감. 팔란티어(-6.12%)는 Monness의 밸류 부담에 따른 투자의견 하향 조정에 약세. 레딧(-14.60%)은 내부자의 주식 매각 소식에 급락. 팬데믹 밈주식 중 하나인 AMC 엔터테인먼트(-14.29%)도 2.5억 달러의 유상증자 소식에 급락.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 국채 금리는 연착륙 가능성을 높인 경제지표 영향 속 상승. 강한 경기에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하며 장단기 금리차는 소폭 확대. 국제유가는 OPEC+ 주요국의 감산 지속에 따른 제한적 공급 속 경기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 전망에 공급 부족 가능성이 부각되며 2% 이상 상승. 달러 인덱스는 여전한 엔화와 유로화의 상대적 약세 흐름 속 소폭 강세. 금 가격은 1% 이상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한 달 동안 9% 이상 상승하는 등 랠리가 지속되는 모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883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44224?lfrom=caf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80130?lfrom=caf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20291?lfrom=cafe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596821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596801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398791
https://m.newspim.com/news/view/20240329000005
https://www.digitimes.com/news/a20240327PD204/samsung-development-glass-substrate-intel-apple.html
삼성그룹, 유리 기판 개발에 도전해 인텔에 도전장, 애플도 채택 주목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3261632149700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44290?lfrom=cafe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3830
https://biz.sbs.co.kr/article/20000163912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6594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18554
https://www.mk.co.kr/news/business/10976949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8137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34486638827912&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379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