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 DOW: 37,082.00p (-475.92p, -1.27%)
- S&P500: 4,698.35p (-70.02p, -1.47%)
- NASDAQ: 14,777.94p (-225.28p, -1.50%)
- 러셀2000: 1,982.84p (-38.12p, -1.8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3.12 (-1.79, -2.76%)
- MSCI 이머징지수 ETF: $38.84 (-1.46, -3.62%)
- Eurex kospi 200: 348.65p (-3.00p, -0.85%)
- NDF 환율(1개월물): 1,302.72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007.66 (-117.90, -2.86%)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481 (+0.314, +0.31%)
- 유로/달러: 1.0939 (-0.0042, -0.38%)
- 달러/엔: 143.64 (-0.20, +0.14%)
- 파운드/달러: 1.2633 (-0.0099, -0.7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3397% (-10.0bp)
- 5년물: 3.8475% (-8.7bp)
- 10년물: 3.8474% (-8.4bp)
- 30년물: 3.9824% (-5.6bp)
- 10Y-2Y: -49.23bp (1.58bp 역전 축소)
미 증시는 장 초반 하락 출발하였으나 양호한 경제지표 결과에 힘입어 상승 반전. 그러나 최근 상승에 대한 경계성 발언과 20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하는 등 차익실현에 대한 욕구를 키워. 변동성 지수(VIX)는 전일대비 9% 가까이 급등하였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9%나 하락하는 등 최근 상승에 대한 피로감 보여. 특히, 신흥국 증시에 대한 차익 매물이 집중되었는데 MSCI 이머징마켓지수는 거의 4% 가까운 하락을 기록. 이 날 영국의 11월 물가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하자 주요국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이 하락을 거듭하였고 달러는 소폭 강세 기록.
11월 기존주택매매는 전월대비 0.8% 증가한 382만건을 기록하며 13년 만의 최저 수준 에서 소폭 반등하며 0.4% 감소할 것이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 또한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10.7로 지난 달 하향 수정된 101.0과 시장이 예상한 104.5를 크게 상회. 이는 2021년 초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2.8%, MSCI 신흥 지수 ETF는 3.6%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2.72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3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9% 하락. KOSPI는 1% 내외 하락해서 시작할 것으로 예상.
# 채권 및 상품 동향
- 영국의 1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함은 물론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자 영국의 10년물 국채수익률은 8개월 최저인 3.5%로 하락. 가파른 디스인플레이 션 기조 속에서 주요국의 10년물 국채수익률은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 보여. 미국의 경우 3.9%를 하회하였고, 이탈리아, 프랑스 및 독일은 연중 최저 수준으로 하락. 우리나라와 캐나다 역시 8개월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긴축이 정점을 지나가고 있음을 암시.
- 구리 선물 가격은 지속적인 공급 우려와 달러 약세 영향으로 파운드당 3.9달러를 상회하며 4개월 래 최고치를 기록. 전 세계 구리 공급량의 1.5%를 담당하는 파나마 Cobre 광산이 정부와의 분쟁 으로 생산을 중단하였기 때문. 또한 세계 최대 구리 생산 국가인 페루 내 일부 광산에서도 파업 등 분쟁이슈로 인해 생산 중단의 위험 존재.
- 11월 기존주택매매는 전월대비 0.8% 증가한 382만건을 기록하며 13년 만의 최저 수준 에서 소폭 반등하며 0.4% 감소할 것이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 또한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10.7로 지난 달 하향 수정된 101.0과 시장이 예상한 104.5를 크게 상회. 이는 2021년 초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
# 특징종목
S&P 500의 11개 주요 섹터 모두 하락. 알파벳(GOOG, +1.2%)은 광고판매 부문의 상당 부분을 개편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강세 보이며 장중 52주 신고가를 기록하였으나 차익실현에 낙폭 축소. 매그니피센트 7 중에서는 테슬라(TSLA, -3.9%)와 엔비디아(NVDA, -3.0%)가 가장 큰 낙폭 기록. 페덱스(FDX, -12.1%)는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부진한 분기 실적과 수요 둔화 영향으로 내년 매출 전망을 하향조정하자 급락. 이에 UPS(UPS, -2.9%) 역시 약세. 제너럴밀즈(GIS, -3.6%)는 수요 둔화로 인해 분기별 매출이 감소하였고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하자 약세. AON(AON, -6.0%)는 총 134억 달러를 들여 보험 중개인 및 퇴직 계획 자문 회사인 NFP를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락. 비트코인이 3% 넘게 상승하면서 마라톤디지털홀딩스(MARA, +0.6%),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0.4%) 등 강세보였으나 장중 상승폭 거의 반납.
🔶 전일및 당일 특징주
▶로봇
치킨은 로봇이 튀겨야 제맛?…두산 이어 LG도 가세
(https://url.kr/tiakx2)
-로봇: 두산로보틱스,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 알에스오토메이션, 에스피지, 뉴로메카
▶2차전지
치킨은 로봇이 튀겨야 제맛?…두산 이어 LG도 가세
(https://url.kr/qsg2rd)
-2차전지: 에코프로머티, LS머트리얼즈, 에코프로, 엘앤에프,
▶인수
HMM 품는 하림, 재계 10위대로 '껑충'…초대형 국적선사 탄생 임박
(https://url.kr/kar3yz)
-인수: HMM, 하림, 하림지주
▶반도체
40년 CPU 선두주자 인텔, AI 칩 개발 팔걷었다
(https://url.kr/uwc6k3)
-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어보브반도체, 네오셈, 제주반도체, HPSP, SK하이닉스, 고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PCB: 태성, 코리아써키트, 대덕전자
▶토스
토스, 상장 작업 시동…증권사에 입찰 제안 요청서 배포
(https://url.kr/tcbhre)
-토스: 이월드, 한국전자인증, 한화투자증권
▶자동차
'역대급 실적' 현대차그룹, 최대규모 승진…사장 포함 252명
(https://url.kr/93gmaq)
-자동차: 기아, 현대차, 화신, 현대오토에버
▶제약바이오
HLB 진양곤 회장, IR 직접 나선다
(https://url.kr/z8oplj)
-제약바이오: HLB, 셀트리온, 박셀바이오, 큐리언트, 카나리아바이오, 신라젠, 큐로셀
▶정치
국민의힘 상임고문단 '한동훈 비대위' 논의…"배 12척, 한동훈에 맡겨보자"
(https://url.kr/mcpa8x)
-한동훈: 와이더플래닛, 대상홀딩스우, 덕성우, 디티앤씨알오, 태평양물산
🔶시간외 특징주
▶KCC건설은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8,814.3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시간외 상한가
▶대유위니아 그룹주 시간외 상승
대유에이텍(+9.55%), 대유플러스(+7.01%), 위니아(+2.75%)
▶일부 LS그룹주 시간외 상승
LS전선아시아(+7.57%), LS네트웍스(+2.04%)
▶피코그램은 중국 '케네이처'와 카본블록 자동화 생산설비 수출 및 로얄테 계약 소식에(+7.02%)
▶비유테크놀러지는 투자사 유토피아게임즈, 블록체인 소셜 카지노 게임 '베가스토피아' 글로벌 마케팅 본격화 소식에
(+4.11%)
▶동일철강은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 등 변동 전자공시 속 시간외 상승(+3.49%)
▶한국전자인증은 토스상장 기대감 등에 (+2.85%)
▶남선알미늄은 이낙연 테마 상승속(+2.40%)
▶아이즈비전은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파워넷 대상 3자배정 유증 공시에(+2.38%)
🔶시간외 하락특징주
▶베셀은 투자위험종목 지정 예고및 매매거래정지 예고공시에 (-7.48%)
▶어보브반도체는 단기과열종목지정공시에(-2.63%)
▶태영건설은 건설사 도산 우려속 PF대출 규모 천차만별... 태영 380% VS 호반-한신공영 10~20%대 기사에(-2.33%)
▶텔레필드는 투자위험 종목 지정, 매매거래 정지 및 재개 공시(-1.9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1221000011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77094?sid=10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402610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402555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63627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77107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5656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57768?sid=101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220000765
https://m.yna.co.kr/view/AKR20231220167800504?section=politics/index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6359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41568?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86986?sid=104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3167380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2197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219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2001581
https://www.mk.co.kr/news/it/10903203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4008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