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월 21일 목요일 장전뉴스

by 시장의중심 2023. 12. 21.
728x90
반응형

◆ 미국 증시
- DOW: 37,082.00p (-475.92p, -1.27%)
- S&P500: 4,698.35p (-70.02p, -1.47%)
- NASDAQ: 14,777.94p (-225.28p, -1.50%)
- 러셀2000: 1,982.84p (-38.12p, -1.8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3.12 (-1.79, -2.76%)
- MSCI 이머징지수 ETF: $38.84 (-1.46, -3.62%)
- Eurex kospi 200: 348.65p (-3.00p, -0.85%)
- NDF 환율(1개월물): 1,302.72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007.66 (-117.90, -2.86%)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481 (+0.314, +0.31%)
- 유로/달러: 1.0939 (-0.0042, -0.38%)
- 달러/엔: 143.64 (-0.20, +0.14%)
- 파운드/달러: 1.2633 (-0.0099, -0.7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3397% (-10.0bp)
- 5년물: 3.8475% (-8.7bp)
- 10년물: 3.8474% (-8.4bp)
- 30년물: 3.9824% (-5.6bp)
- 10Y-2Y: -49.23bp (1.58bp 역전 축소)

미 증시는 장 초반 하락 출발하였으나 양호한 경제지표 결과에 힘입어 상승 반전. 그러나 최근 상승에 대한 경계성 발언과 20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하는 등 차익실현에 대한 욕구를 키워.   변동성 지수(VIX)는 전일대비 9% 가까이 급등하였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9%나 하락하는 등 최근 상승에 대한 피로감 보여. 특히, 신흥국 증시에 대한 차익 매물이 집중되었는데 MSCI 이머징마켓지수는 거의 4% 가까운 하락을 기록. 이 날 영국의 11월 물가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하자 주요국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이 하락을 거듭하였고 달러는 소폭 강세 기록.

11월 기존주택매매는 전월대비 0.8% 증가한 382만건을 기록하며 13년 만의 최저 수준 에서 소폭 반등하며 0.4% 감소할 것이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 또한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10.7로 지난 달 하향 수정된 101.0과 시장이 예상한 104.5를 크게 상회. 이는 2021년 초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2.8%, MSCI 신흥 지수 ETF는 3.6%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2.72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3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9% 하락. KOSPI는 1% 내외 하락해서 시작할 것으로 예상.

# 채권 및 상품 동향


- 영국의 1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함은 물론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자 영국의 10년물 국채수익률은 8개월 최저인 3.5%로 하락. 가파른 디스인플레이 션 기조 속에서 주요국의 10년물 국채수익률은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 보여. 미국의 경우 3.9%를 하회하였고, 이탈리아, 프랑스 및 독일은 연중 최저 수준으로 하락. 우리나라와 캐나다 역시 8개월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긴축이 정점을 지나가고 있음을 암시.

- 구리 선물 가격은 지속적인 공급 우려와 달러 약세 영향으로 파운드당 3.9달러를 상회하며 4개월 래 최고치를 기록. 전 세계 구리 공급량의 1.5%를 담당하는 파나마 Cobre 광산이 정부와의 분쟁 으로 생산을 중단하였기 때문. 또한 세계 최대 구리 생산 국가인 페루 내 일부 광산에서도 파업 등 분쟁이슈로 인해 생산 중단의 위험 존재.

- 11월 기존주택매매는 전월대비 0.8% 증가한 382만건을 기록하며 13년 만의 최저 수준 에서 소폭 반등하며 0.4% 감소할 것이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 또한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10.7로 지난 달 하향 수정된 101.0과 시장이 예상한 104.5를 크게 상회. 이는 2021년 초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

# 특징종목

S&P 500의 11개 주요 섹터 모두 하락. 알파벳(GOOG, +1.2%)은 광고판매 부문의 상당 부분을 개편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강세 보이며 장중 52주 신고가를 기록하였으나 차익실현에 낙폭 축소. 매그니피센트 7 중에서는 테슬라(TSLA, -3.9%)와 엔비디아(NVDA, -3.0%)가 가장 큰 낙폭 기록. 페덱스(FDX, -12.1%)는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부진한 분기 실적과 수요 둔화 영향으로 내년 매출 전망을 하향조정하자 급락. 이에 UPS(UPS, -2.9%) 역시 약세. 제너럴밀즈(GIS, -3.6%)는 수요 둔화로 인해 분기별 매출이 감소하였고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하자 약세. AON(AON, -6.0%)는 총 134억 달러를 들여 보험 중개인 및 퇴직 계획 자문 회사인 NFP를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락. 비트코인이 3% 넘게 상승하면서 마라톤디지털홀딩스(MARA, +0.6%),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0.4%) 등 강세보였으나 장중 상승폭 거의 반납.

🔶 전일및 당일 특징주

▶로봇
치킨은 로봇이 튀겨야 제맛?…두산 이어 LG도 가세
(https://url.kr/tiakx2)
-로봇: 두산로보틱스,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 알에스오토메이션, 에스피지, 뉴로메카

▶2차전지
치킨은 로봇이 튀겨야 제맛?…두산 이어 LG도 가세
(https://url.kr/qsg2rd)
-2차전지: 에코프로머티, LS머트리얼즈, 에코프로, 엘앤에프,

▶인수
HMM 품는 하림, 재계 10위대로 '껑충'…초대형 국적선사 탄생 임박
(https://url.kr/kar3yz)
-인수: HMM, 하림, 하림지주

▶반도체
40년 CPU 선두주자 인텔, AI 칩 개발 팔걷었다
(https://url.kr/uwc6k3)
-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어보브반도체, 네오셈, 제주반도체, HPSP, SK하이닉스, 고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PCB: 태성, 코리아써키트, 대덕전자

▶토스
토스, 상장 작업 시동…증권사에 입찰 제안 요청서 배포
(https://url.kr/tcbhre)
-토스: 이월드, 한국전자인증, 한화투자증권

▶자동차
'역대급 실적' 현대차그룹, 최대규모 승진…사장 포함 252명
(https://url.kr/93gmaq)
-자동차: 기아, 현대차, 화신, 현대오토에버

▶제약바이오
HLB 진양곤 회장, IR 직접 나선다
(https://url.kr/z8oplj)
-제약바이오: HLB, 셀트리온, 박셀바이오, 큐리언트, 카나리아바이오, 신라젠, 큐로셀

▶정치
국민의힘 상임고문단 '한동훈 비대위' 논의…"배 12척, 한동훈에 맡겨보자"
(https://url.kr/mcpa8x)
-한동훈: 와이더플래닛, 대상홀딩스우, 덕성우, 디티앤씨알오, 태평양물산

🔶시간외 특징주

▶KCC건설은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8,814.3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시간외 상한가

▶대유위니아 그룹주 시간외 상승
대유에이텍(+9.55%), 대유플러스(+7.01%), 위니아(+2.75%)

▶일부 LS그룹주 시간외 상승
LS전선아시아(+7.57%), LS네트웍스(+2.04%)

▶피코그램은 중국 '케네이처'와 카본블록 자동화 생산설비 수출 및 로얄테 계약 소식에(+7.02%)

▶비유테크놀러지는 투자사 유토피아게임즈, 블록체인 소셜 카지노 게임 '베가스토피아' 글로벌 마케팅 본격화 소식에
(+4.11%)

▶동일철강은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 등 변동 전자공시 속 시간외 상승(+3.49%)

▶한국전자인증은 토스상장 기대감 등에 (+2.85%)

▶남선알미늄은 이낙연 테마 상승속(+2.40%)

▶아이즈비전은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파워넷 대상 3자배정 유증 공시에(+2.38%)

🔶시간외 하락특징주

▶베셀은 투자위험종목 지정 예고및 매매거래정지 예고공시에 (-7.48%)

▶어보브반도체는 단기과열종목지정공시에(-2.63%)

▶태영건설은 건설사 도산 우려속 PF대출 규모 천차만별... 태영 380% VS 호반-한신공영 10~20%대 기사에(-2.33%)

▶텔레필드는 투자위험 종목 지정, 매매거래 정지 및 재개 공시(-1.9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1221000011

 

뉴욕증시, 차익실현에 하락 마감…나스닥 1.50%↓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20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주식시장이 장기간 오름세를 보인 이후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newspim.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77094?sid=104

 

빅7 해운사 홍해 운송 중단…운임 급등, 유가도 상승세 [뒷북 글로벌]

예멘 후티 반군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홍해에서 민간 상선에 대한 공격을 이어가면서 글로벌 해운사들의 홍해 운송이 잇따라 중단돼 글로벌 물류대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세계 4위이자 중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402610

 

휴전협상 재개 기대 속 네타냐후 "하마스엔 항복 또는 죽음뿐"(종합)

하마스 지도자 중재국 이집트 도착 유현민 특파원 =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인질 협상이 중재국들을 통해 재개되리라는 기대가 커졌으나 베냐민 네타냐후는 하마스를 제거하겠다는 성명을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402555

 

국토장관 후보자 "PF 옥석 가려야…악성 사업장 정리 필요"(종합)

"실거주 의무는 여름에 썼던 약…겨울엔 거둬야" "전세 낀 주택매매, 주거 사다리의 중요한 한 부분"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함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전국 곳곳에서 불거진 가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63627

 

대주주 양도세 기준 10억서 50억?…오늘 발표

주식 양도소득세 완화 방안이 이르면 오늘 발표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주식 양도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현행 종목당 10억원에서 50억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77107

 

AI 열풍에 마이크론 호실적… 삼성·하이닉스도 청신호

미국 대표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이 예상을 뛰어넘는 분기 실적을 거뒀다. 마이크론은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요에 PC·스마트폰 판매도 늘며 2025년에는 메모리 반도체 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56563

 

中 의존 낮춘다… 현대차그룹, LFP 배터리 직접 개발

현대차그룹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직접 개발해 생산한다. 국내 중견 업체들과 내년까지 LFP 배터리를 개발해 이르면 2025년부터 실제품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2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57768?sid=101

 

코스모그룹, 로봇기업 ‘코스모로보틱스’ 키운다… 2년내 IPO 목표

이차전지 소재로 가파르게 성장하는 코스모그룹이 미래 성장 전략으로 로봇 산업 투자를 본격 개시했다. 웨어러블 로봇 전문 기업 코스모로보틱스를 키워 2년 내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계획이

n.news.naver.com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220000765

 

[단독] 무차입 공매도 적발땐 최대 6배 벌금…최대 3배 가중처벌도 신설

앞으로 무차입 공매도를 하다 걸리면 부당 이득의 최소 4배에서 최대 6배까지 벌금이 부과된다. 또 공매도 부당 이익이 5억원 이상이면 2~3배 가중 처벌하는 조항도 생긴다. 정부안이 최종 통과될

biz.heraldcorp.com

https://m.yna.co.kr/view/AKR20231220167800504?section=politics/index

 

한일, 오늘 서울서 8년 만에 고위경제협의회 개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한일 외교당국이 포괄적 경제 분야 대화체인 고위경제협의회를 서울에서 약 8년 만에 개최한다.

www.yna.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63594

 

‘연 7천만원’ 폐암 신약, 내년 300만원으로 확 준다

1년에만 수천만 원에 달하는 폐암환자들의 약값 부담이 내년부터 확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한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도 일부 늘어난다는데요. 박규준 기자, 폐암신약에 건강보험이 적용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41568?sid=104

 

中, 아프리카돼지열병 급속 확산…또 코로나처럼 ‘쉬쉬’?

중국에서 치사율이 100%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산하고 있으나 당국이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중국 북부에서 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86986?sid=104

 

"2035년까지 신차 모두 전기차로 바꾼다"…캐나다 ‘화석 연료 탈출' 공식 발표

두바이=AP뉴시스 제공 캐나다가 2025년까지 모든 차량의 전기차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고 가디언, 케네디언프레스 등 외신이 19일(현지시간) 전했다. 캐나다는 2025년까지 모든 신차를 대상으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3167380

 

삼성, LEDoS는 반도체·OLEDoS는 디스플레이가 맡는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레도스(LEDoS)'를 사업화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레도스(OLEDoS)'를 맡는다. 레도스와 올레도스는 작은 화면에 초고해상도를 구현하는 '마이크로 디스

n.news.naver.com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2197

 

현대차·기아, 11월 유럽 판매 6.4%↑…전기차 성장세 유지 - 연합인포맥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유럽 시장에서 전기차를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20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 (ACE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지난달 유럽 판매는 8만9천76대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

news.einfomax.co.kr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2198

 

'한국타이어 장녀' 조희경 이사장, MBK 공개매수 참여 선언 - 연합인포맥스

조양래 한국앤컴퍼니 명예회장의 장녀인 조희경 한국타이어나눔재단 이사장이 MBK파트너스가 진행하는 한국앤컴퍼니 공개매수에 참여할 것이라고 20일 밝혔다.이에 따라 기존에 조현범 한국앤

news.einfomax.co.kr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2001581

 

[단독] AI에 힘주는 네이버…비즈니스온 인수 추진

[단독] AI에 힘주는 네이버…비즈니스온 인수 추진, 프랙시스캐피탈 보유지분 46% 뒤늦게 참전 나서…PEF와 경쟁

www.hankyung.com

https://www.mk.co.kr/news/it/10903203

 

K중기 미국 뷰티시장서 훨훨 날았다 - 매일경제

中 제치고 美가 최대 수출국수출 3년새 76%↑, 1조 돌파ODM중견·중기 협력 결실틱톡 등 숏폼 공략도 주효한국콜마 실적도 동반 상승3분기 매출·영업익 사상최대

www.mk.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40089

 

AI 의료기기 다루는 '디지털의료제품법' 국회 본회의 통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지털의료제품법'이 12월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의료제품법은 디지털의료제품(첨단 디지털 기술 적용 의료기기 등)의 안전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

n.news.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