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 DOW: 34,991.21p (+163.51p, +0.47%)
- S&P500: 4,502.88p (+7.18p, +0.16%)
- NASDAQ: 14,103.84p (+9.46p, +0.07%)
- 러셀2000: 1,801.22p (+2.90p, +0.1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34 (+0.45, +0.73%)
- MSCI 이머징지수 ETF: $39.69 (+0.33, +0.84%)
- Eurex kospi 200: 335.75p (+0.50p, +0.15%)
- NDF 환율(1개월물): 1,303.14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712.09 (+26.52, +0.72%)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408 (+0.355, +0.34%)
- 유로/달러: 1.0846 (-0.0033, -0.30%)
- 달러/엔: 151.39 (+1.02, -0.67%)
- 파운드/달러: 1.2413 (-0.0086, -0.69%)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9118% (+7.6bp)
- 5년물: 4.5208% (+8.2bp)
- 10년물: 4.5353% (+8.8bp)
- 30년물: 4.6953% (+7.5bp)
- 10Y-2Y: -37.65bp (1.22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5 1/4 (-0*05 , -0.18%)
- 5YR T-Notes: 105*18 1/4 (-0*14 , -0.41%)
- 10YR T-Notes: 108*07 (-0*22 1/2, -0.65%)
- US T-Bonds: 114*08 (-1*23 , -1.11%)
- Ultra US T-Bonds: 118*13 (-1*14 , -1.3%)
미 증시는 예상보다 나은 소매판매와 생산자 물가의 하락 등 긍정적 모멘텀을 이어가며 상승 마감. 또한 전일 정부 셧다운을 막기 위한 임시 예산안이 하원에서 초당적 지지를 받고 통과함으로써 정치적 불확실성도 덜해. 여기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APEC 회의에서 미-중 간 정상회담이 개최됨으로써 정치적 긴장감이 덜해질 수 있을 거란 기대도 커져. 다만 장중 글로벌 신용평가 회사인 Fitch는 2024년 전망을 통해 H4L(Higher for Longer)와 중국의 부동산 위기 등이 주요 위험으로 남아있다고 평가하면서 장중 변동성 키워.
MSCI 한국 지수 ETF는 0.73%, MSCI 신흥 지수 ETF는 0.84%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3.14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5% 상승. KOSPI는 0.2~0.5%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국내에서 공매도 금지가 발표(5일) 이후, 6일부터 15일까지의 거래동향을 살펴보면 개인들은 약 3.2조원의 순매도를 기록. 특히 어제(15일)는 차익거래성 수급까지 출회하며 1년여 만에 가장 큰 규모인 약 1.8조원의 순매도 기록. 같은 기간 외국인은 2.6조원, 기관은 1.1조원 순매수하며 국내증시가 4.5% 상승하는 데 일조. 결국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 중요한 건 외국인 수급이 지속 유입될 수 있는 투자 환경이 만들어지는 지의 여부라는 점에서 최근 흐름은 긍정적.
특징종목: GO, 타겟!
(섹터) S&P 500의 11개 주요 업종 중 필수소비재(+0.70%), 커뮤니케이션 서비스(+0.60%) 원자재(+0.47%) 등 7개 업종은 상승한 반면 에너지(-0.34%), 유틸리티(-0.33%) 등 4개 업종 약세.
(상승) 타겟(+17.75%)과 JD닷컴(+7.04%)은 시장 예상을 상회한 3분기 실적을 공개한 이후 상승. 특히 타겟은 2019년 8월 21일 이후 가장 큰 일일 상승폭을 기록. 캐털란트(+11.34%)는 예상보다 적은 주당 손실과 매출을 상회한 후 상승. VF코퍼레이션(+14.13%), 아메리칸이글(+5.04%), 홀리(+2.67%), 제네락홀딩스(+1.06%) 등은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상향에 힘입어 상승. 익스피디아(+6.28%)와 월트디즈니(+3.14%)는 행동주의 투자자인 ValueAct Capital이 지분을 취득했다는 소식에 강세. 특히 익스피디아는 52주 신고가를 기록. 시리우스XM홀딩스(+6.13%)는 워렌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0.72%)가 신규 지분을 취득했다는 소식에 강세.
(하락) 엔비디아(-1.55%)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두 개의 칩(Maia 100, Cobalt 100)을 공개했다는 점과 11거래일 연속 상승에 대한 기술적 부담에 하락. TJX(-3.32%)는 급증하는 비용이 마진을 압박으로 인해 이익 전망을 낮춰. 에너자이저홀딩스(-6.76%)는 연간 가이던스 하향으로 JP모건에서 투자의견을 하향하자 하락. 어드밴스오토파츠(-4.67%) 연간 전망 하향에 약세.
미-중 정상회담 관련
1년여만에 처음으로 바이든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첫 대면 회담을 진행. 그동안 무역 분쟁과 대만 문제 등 양국간 마찰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미국과 중국 주요 인사들이 양국을 방문하면서 해빙무드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졌던 가운데 열린다는 점에서 기대 심리도 있음. 특히, 새로운 내용이 나오기 보다는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며 위험자산에 긍정적이라고 평가 하고 있음.
정상회담 개최전 양국 정상은 모두 발언을 통해 몇 달간의 긴장이 끝나고 미중 관계가 한 단계 더 진전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 바이든은 재선을 앞두고 중동과 유럽에서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위험이 터지는 것을 막고 싶어하고, 시진핑은 중국 경기 부진에 대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조치를 얻고 싶어하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백악관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소통에 대한 기대 및 후속 대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발표.
현재 알려진 점은 펠로시 하원 의장이 대만 방문 후 중국이 반발하며 미-중 군사 소통 채널을 중단했는데 이를 복원하는 부분은 합의가 된 것으로 알려짐. 갈등이 긴장으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음. 그 외에 모두 발언을 통해 언급된 미-중 관계, 인공지능 접근, 대만, 마약과 기후 문제, 그리고 중국의 핵 개발, 경제 문제등도 의제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정상회담의 결과는 예정된 시간은 한국 시각 오전 9시 15분 바이든의 기자회견에서 알 수 있을 듯. 다만, 회담이 30분 지연되었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전일및 당일 특징주
▶반도체
엔비디아 새 AI칩에 삼성·SK 'HBM 특수'
(https://url.kr/iwqgs4)
-반도체: SK하이닉스, 에이직랜드, 하나마이크론, 주성엔지니어링, 한미반도체, HPSP
-PCB: 이수페타시스
▶2차전지
STX, 니켈‧코발트‧흑연 이어 리튬 공급망 확보…배터리 소재 사업 가속화
(https://url.kr/xiey1d)
-니켈: STX
-2차전지: 웅진, 메가터치,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정치
공개활동 나선 한동훈 아내, 출마 신호탄?
(https://url.kr/6oxyhq)
-한동훈: 노을, 체시스, 오파스넷, 태양금속
▶로봇
정부, 자율車·이동로봇 영상데이터 원본 활용 허용 추진
(https://url.kr/xadqhv)
-로봇: 티사이언티픽, 두산로보틱스,
▶가상화폐
-STO: 갤럭시아머니트리, 한화투자증권
-가상화폐: 티사이언티픽, 우리기술투자
▶희토류
성림첨단산업㈜, 중희토류 저감형 희토 자석 국산화 성공
(https://url.kr/rqo75w)
-희토류: 현대비앤지스틸, 성안, 세토피아
▶제약바이오
머크와 매각설에···알테오젠 “최대주주 의중에 달린 문제”
(https://url.kr/94f7pd)
-제약바이오: 큐로셀, 알테오젠, 셀트리온, 펩트론
-마약대체: 텔콘RF제약, 비보존제약
-진통주사: 경보제약
▶우주
이번엔 뜰까...스페이스X 화성탐사 우주선 ‘스타십’ 17일 2차 도전
(https://url.kr/4b9mhf)
-우주: 컨텍, ap위성,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게임
지스타 2023 개최…3328개 부스, 42개국 1037개사 참가
(https://url.kr/z4t2sm)
-게임: 넷마블,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플레이위드, 크래프톤
🔶시간외 특징주
▶자회사 KC코트렐, 미중 기후변화, 공동대응 합의, 워킹 그룹 가동 소식에 시간외 일부 온실 가스 테마 급등
KC그린홀딩스(+10.00%), KC코트렐(+10.00%), 그린케미칼(+9.93%), 에코바이오(+4.09%), 클라우드에어(+3.48%)
▶삼성, 중국 BOE와 관계 끊고 공급망 재편 기사 등에 시간외 일부 OLED 테마 상승
영우디에스피(+5.58%), 풍원정밀(+3.82%), 선익시스템(+2.41%)
▶코스텍시스는 미국 국채 금리 급락 및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상 소식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에 급등(+4.63%)
▶대구백화점은 차바이오텍 대국백화점 인수 관련 없다 유증 검토 사실 무근 기사에 (+3.77%)
▶씨씨에스는 충북방송 최대주주 변경 정부 승인 없이 계약 논란 기사에 (+3.61%)
▶제이엘케이는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 시행 기대감 등에 정규장 이어 (+3.11%)
▶윙스풋은 베어파우 통해 최대 실적 경신 기사에 (+2.60%)
▶엘앤케이바이오는 3분기 흑자전환등에 정규장이어 (+2.51%)
▶티엔엔터테이먼트는 3분기 호실적에 정규장이어 (+2.49%)
🔶시간외 하락특징주
▶비아이매트릭스는 특정계좌 매매관여 과다 종목 공시에 하락(-3.02%)
▶스피어파워는 유상증자 결정 정정공시(납입일 변경)으로 하락(-2.86%)
▶버넥트는 기술특례상장 쇼크 오나.... 3분기 매출 9억 ... 누적 영업 손실 96억 기사에 (-1.37%)
▶뷰노는 국내 사모CB전환공시에 (567,408주) (-1.26%)
▶카카오는 금감원 특사경. 카카오 김범수 기소의견 검찰 송치 소식에 (-1.1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33819
바이든 "경쟁의 충돌비화 막아야"…시진핑 "충돌하면 감당 불가"(종합)
미중 정상, 1년만에 대좌…'두 전쟁' 속 관계 안정화 방안 논의 바이든 "경쟁 책임있게 관리"…시진핑 "대국경쟁, 시대의 대세아냐" 조준형 김태종 특파원 = '2개의 전쟁'으로 요동치는 국제 정세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33756
美 10월 소매판매 7개월만에 감소 전환…소비 둔화 현실화(종합)
"고금리·학자금 상환 등 소비 압박"…내구재 판매에 타격 10월 생산자물가 3년반만에 최대폭 감소…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 이지헌 특파원 = 미국 소비자들이 지난달 들어 지갑을 덜 연 것으로 나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212077
美 10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比 0.5%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
지난달 미국의 도매가격은 1년 반 동안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 완화되면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15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전 인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33668
EU, 올해 경제전망 0.8→0.6% 또 하향…"모멘텀 잃어"
내년도 전망도 1.3→1.2%로 내려…중동분쟁 여파 "에너지 수급 차질 위험도"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15일(현지시간)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를 두 달 만에 또 하향 조정했다. EU 행정부 격인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33889
MS, 자체 개발한 AI·클라우드 칩 최초 공개…엔비디아에 도전장(종합)
그래픽처리장치 '마이아', 고성능 컴퓨팅 CPU '코발트' 선보여 임미나 특파원 =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기술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반도체 칩을 자체 개발해 처음으로 선보였다. MS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41419?sid=101
다시 꿈틀대는 '수소경제'… 수소 관련株 다시 뜨나
윤석열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 국빈 방문에서 양국의 수소경제 협력을 약속하고, 정부가 국내 청정수소 인증제를 개선하는 등 호재가 잇따르면서 움츠렀던 ‘수소 관련주’가 재조명받고 있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178972?sid=101
엔비디아 하락했으나 인텔 급등,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72%↑
생성형 인공지능(AI) 최대 수혜주 엔비디아가 1% 이상 하락했으나 미국의 대표적 반도체 업체 인텔이 3% 이상 급등함에 따라 반도체 모임인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1% 가까이 상승 마감했다. 15일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21055?sid=101
해외 선전? 원가 하락?…라면 3사, 실적 고공행진 '찐' 이유는
라면 3사가 3분기 나란히 '어닝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배 이상 늘었고 매출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해외 시장에서 K-라면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 더불어 신제품의
n.news.naver.com
https://v.daum.net/v/20231115205045962
“이러니 다들 넷플릭스 타령” 또 터졌다…유탄 맞은 방송 ‘0%’ 사태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돈 내고 보는 건 넷플릭스면 된다?”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운 넷플릭스가 유료방송 시장까지 덮쳤다. 넷플릭스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올 상반기 유료 방송 성장
v.daum.net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178941
비트코인 6% 이상 급등, 3만8000달러 육박(상보)
비트코인이 6% 이상 급등해 3만7000달러를 돌파한 것은 물론 3만8000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16일 오전 6시10분 현재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보다 6.71% 급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70482?sid=104
EU, 2030년부터 '메탄 과잉 배출' 화석연료 수입에 제동
유럽연합(EU)이 2030년부터 메탄을 기준치 이상 많이 배출하는 화석연료 수입을 사실상 금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이어 두 번째로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으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31412?sid=101
MS, 구글-아마존과 ‘AI 칩’ 경쟁… 韓기업엔 위탁생산 ‘기회’
“실리콘(반도체)부터 서비스까지 인공지능(AI)의 모든 것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겠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5일(현지 시간) 미국 시애틀 본사에서 열린 연례행사 ‘이그나이트’에서 자체 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25197?sid=104
中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창궐에 불안감 증폭
코로나19 진원지로 지목됐던 중국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창궐하면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전염 속도가 빠르고, 기존 항생제 치료 효과가 낮은 데다 폐부전 등 병세 악화 사례도 급증하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31477?sid=101
“체중 20% 감소” vs “살빼고 심장보호”… 비만치료제 시장 후끈
체중 20%를 줄여주는 또 하나의 강력한 비만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으며 제약사 간 비만약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비만 외에 다른 질환까지 치료 대상을 넓히거나 약 가격을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241670?sid=100
여권서 철도지하화 특별법 발의…'부산진~부산역' 지하화 논의 관심
지상 철도를 지하화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상부 공간을 통합 개발하는 내용의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여권에서 발의됐다. 철도지하화가 정부 국정과제인 만큼,
n.news.naver.com
https://www.news1.kr/articles/5232258
삼성, 메타·MS 출신 XR 전문가 영입…가상현실 사업 속도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최근 메타(옛 페이스북)·MS(마이크로소프트) 출신 인재를 영입하고 XR(확장 현실) 경쟁력 강...
www.news1.kr
https://www.yna.co.kr/view/AKR20231115170500073?input=1195m
"한일 정상회담, 1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서 개최" | 연합뉴스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한일 정상회담...
www.yna.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