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 DOW: 34,152.60p (+56.74p, +0.17%)
- S&P500: 4,378.38p (+12.40p, +0.28%)
- NASDAQ: 13,639.86p (+121.08p, +0.90%)
- 러셀2000: 1,733.15p (-4.79p, -0.2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1.65 (-1.03, -1.64%)
- MSCI 이머징지수 ETF: $38.70 (-0.07, -0.18%)
- Eurex kospi 200: 331.05p (+2.65p, +0.81%)
- NDF 환율(1개월물): 1,302.78원 / 전일 대비 6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471.46 (+26.57, +0.7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5.545 (+0.330, +0.31%)
- 유로/달러: 1.0696 (-0.0022, -0.21%)
- 달러/엔: 150.41 (+0.34, -0.23%)
- 파운드/달러: 1.2295 (-0.0049, -0.4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9092% (-2.5bp)
- 5년물: 4.5330% (-5.5bp)
- 10년물: 4.5706% (-7.3bp)
- 30년물: 4.7359% (-7.3bp)
- 10Y-2Y: -33.86bp (4.72bp 역전 확대)
미 증시는 빅테크를 중심으로 시가총액 비중이 IT, 경기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 상승에 힘입어 S&P 500은 7일 연속, 나스닥은 8일 연속 상승 마감. 금일 시장의 큰 화두는 성장과 둔화의 선택 앞에 서 있다는 것. 금일 실적을 발표한 반도체 및 클라우드 업체들의 탄탄한 실적은 향후 성장 전망을 밝게 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되며 국제유가는 지난 7월 중순이후 최저치를 기록. 미 국채수익률은 성장보다는 둔화 우려를 반영하며 하락
MSCI 한국 지수 ETF는 1.64%, MSCI 신흥 지수 ETF는 0.18%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2.78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6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81% 상승. KOSPI는 0.3~0.6%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공매도 금지 영향으로 널뛰기 장세를 보인 국내 증시는 점차 안정적 흐름 찾아갈 것으로 예상. 다만, 글로벌 경기둔화와 수요전망 부진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만큼 종목별/업종별 차별화 움직임 나타날 것으로 예상. 결국 1년 넘게 ‘디레버리징’하며 부담을 줄인 반도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 수급적으로도 반도체 업종에 대해 외국인은 연간 16조원(국내 5.5조원) 이상 순매수 기록.
특징종목: IT ↑, 에너지 ↓
(섹터) S&P 500의 11개 주요 업종 중 전체 시총의 절반을 차지하는 경기소비재(+1.19%), IT(+1.08%), 커뮤니케이션 서비스(+0.55%)는 상승. 반면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에너지(-2.23%)와 소재(-1.88%)는 가장 부진한 모습 보여.
(상승) 데이더독(+28.49%), Vivid Seats(+16.00%), 플래닛 피트니스(+13.39%), 트립어드바이저(+11.11%), Hims&Hers헬스(+10.83%), 젠디지털(+8.42%), 글로벌파운드리(+5.03%) 등은 시장 예상을 상회한 분기 실적을 발표한 후 상승. 특히 데이터독과 글로벌파운드리의 호실적 영향으로 반도체와 클라우드 관련주들 동반 강세 보이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거의 0.77% 상승. 알테릭스(+19.51%)는 예상보다 적은 손실과 더 나은 매출을 기록해 상승. 디지털오션홀딩스(+10.10%)는 골드만삭스가 매도에서 매수로 업그레이드, 바이오마린제약(+12.12%)은 행동주의 투자자 앨리엇이 지분을 취득했다는 소식에 강세.
(하락)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에너지株 전반적으로 약세. 쉐브론(-1.77%) 지난 해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고 마라톤오일(-4.06%), 데본에너지(-3.06%), 슐럼버거(-5.56%), 베이커휴즈(-3.12%) 등 하락. 산미나(-14.30%)와 에어프로덕츠&케미컬스(-12.65%)는 시장 예상을 하회한 실적 발표에 하락. RE/MAX홀딩스(-8.43%)는 소송 등 분쟁 위험으로 모건스탠리가 투자의견 하향에 약세.
🔶 전일및 당일 특징주
▶빈대확산
“지하철 탔는데 코트에서 빈대가”…공공장소 목격담 확산
(https://url.kr/mrc1so)
-빈대확산: 경농, 인바이오, 경남제약, 성보화학, 동성제약
▶반도체
'반도체 전설' 짐 켈러 부른 삼성…'AI 포럼' 통해 시장 주도권 잡을까
(https://url.kr/3zuawy)
-반도체: 주성엔지니어링, 하나마이크론, 한미반도체, 제주반도체, HPSP, 워트, 미래반도체, SK하이닉스
▶공매도금지
"엄중한 상황"…내년 6월까지 공매도 전면 금지
(http://cuts.kr/ihLuA)
-2차전지: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POSCO홀딩스, 포스코DX, 포스코퓨처엠, 금양,
▶정치
한동훈 후임 인선 검토…대통령실 수석 6명 중 5명 교체 가능성
(https://url.kr/v19ehd)
-한동훈: 노을, 체시스, 오파스넷, 유니드비티플러스, 태양금속
▶제약바이오
기술수출·공매도 금지' 겹호재… 'K-바이오' 살아날까
(https://url.kr/1xlbri)
-제약바이오: 종근당, 펩트론, 국제약품, 알테오젠,
▶로봇
"두산로보틱스, 100조원 잠재성장 협동로봇 강자...글로벌 TOP 4 진입"
(http://cuts.kr/tclmD)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유진로봇, 에브리봇, 에스비비테크
▶은행
업종간 생산격차 극과극…음식점 11% 늘 때 은행 325% 날았다
(http://cuts.kr/ckXfC)
-은행: KB금융, 카카오뱅크,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AI
韓 차기 AI 정상회의 공동 주최…"국제사회 AI 논의 중심으로"
(https://url.kr/a2ko8b)
-AI: 코난테크놀로지, 솔트룩스
-AI의료: 루닛,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제이엘케이
▶메가서울
수도권’ 아닌 ‘뉴시티’ 특위 띄운 與… “주민이 원하면 지역 메가시티 검토”
(https://url.kr/v1qdec)
-김포: 코아스, 누리플랜, 이건홀딩스, 엑사이엔씨
🔶시간외 특징주
▶위니아는 고비 넘긴 위니아 광주 김치 냉장고 새산라인 가동 재개 기사에 시간외 상한가
대유에이텍(+4.84%), 대유에이피(+1.93%)
▶미중 정상회담 전 희토류 통제 강화 "수출 보고 의무화" 소식 속 시간외 희귀금속 희토류 테마 상승
삼화전자(+9.96%), 티플랙스(+9.96%), 동국알엔에스(+9.90%), 유니온(+9.86%), 유니온머티리얼(+9.85%)
삼화전기(+6.86%), 세노텍(+6.47%), 현대비엔지스틸(+6.09%), EG(+5.41%), 노바텍(+4.52%), 상신전자(+3.23%)
대원화성(+3.17%), 성안(+3.09%), 세토피아(+2.41%)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한국 소재 반도체 기업과 91.22억원 규모 공극계약 체결 공시(+5.38%)
▶씨씨에스는 초전도체 권영완 교수 씨시에스 경영진 합류 기사에 (+3.42%)
▶크래프톤은 3분기 호실적 공시에 (+3.36%)
▶위메이드는 3분기 흑자전환 공시에 (+2.70%)
위메이드맥스(+2.17%)
▶씨유박스는 엔비디아 최신 서버 도입 "AI' 기술 고도화 기사에 (+2.41%)
▶샤페론은 미국 자회사 투자 유치 추진 기사에 (+2.34%)
▶엠젠솔루션은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공시에 (+2.27%)
▶ 하나투어는 3분기 흑자전환 공시에 (+2.05%)
🔶시간외 하락특징주
▶세니젠은 70,300주 규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공시에 (-5.48%) 하락
▶시간외 일부 빈대테마 하락
성보화학(-5.41%), 우진비앤지(-4.69%), 동성제약(-3.27%), 누보(-2.82%)
▶시간외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고옴가 흥행실패하며 공모가 희망밴드 최하단 확정 소식에 2차전지 테마 급락
에코프로비엠(-4.04%), 에코프로(-3.96%), 에코프로에이치엔(-3.95%), 포스코엠텍(-3.55%), 금양(-3.51%)
포스코퓨처엠(-2.73%)
▶에이치피오는 3분기 실적 악화로 (-2.83%)
▶Sk디앤디는 3분기 영업손실 공시로(-2.82%)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16078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58506?rc=N&ntype=RANKING&sid=10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1552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160709?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15783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33747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097508?sid=101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87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0803375
https://www.sedaily.com/NewsView/29X5L5GK5F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195048?sid=101
https://www.yna.co.kr/view/AKR20231108005200091?input=1195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078623i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5610
https://www.news1.kr/articles/522352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0795411
https://biz.sbs.co.kr/article/20000143047?division=NAV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