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월 10일 화요일 장전뉴스

by 시장의중심 2023. 10. 10.
728x90
반응형

◆ 미국 증시
- DOW: 33,604.65p (+197.07p, +0.59%)
- S&P500: 4,335.66p (+27.16p, +0.63%)
- NASDAQ: 13,484.24p (+52.90p, +0.39%)
- 러셀2000: 1,755.99p (+10.44p, +0.6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8.47 (-0.14, -0.24%)
- MSCI 이머징지수 ETF: $37.65 (-0.18, -0.48%)
- Eurex kospi 200: 324.10p (+3.60p, +1.12%)
- NDF 환율(1개월물): 1,345.28원 / 전일 대비 6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467.35 (-7.86, -0.2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062 (+0.018, +0.02%)
- 유로/달러: 1.0565 (-0.0021, -0.20%)
- 달러/엔: 148.53 (-0.79, +0.53%)
- 파운드/달러: 1.2234 (-0.0003, -0.02%)

◆ 미국 국채시장(※ 콜럼버스데이 휴장)
- 2년물: 5.0813% (0.0bp)
- 5년물: 4.7566% (0.0bp)
- 10년물: 4.8009% (0.0bp)
- 30년물: 4.9676% (0.0bp)
- 10Y-2Y: -28.04bp (0.00bp 유지)

미 증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세력) 간 무력 충돌로 인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자 하락 출발. 그러나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등 주요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상승 전환. 한편 국제유가는 4% 넘게 상승하였고, 유럽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 넘게 급등. 달러인덱스 장 초반 강세 출발하였으나 하락 반전.

MSCI 한국 지수 ETF는 0.24%, MSCI 신흥 지수 ETF는 0.48%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45.28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6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1.12% 상승. KOSPI는 1%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美 채권시장은 콜럼버스데이로 휴장이었지만 주요국 장기채 금리는 크게 하락. 지난 주 급등했던 국고채 금리 역시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 이는 주식시장의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 또한 지난 주 美 9월 고용보고서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음에도 임금상승률 둔화, 최근 국채금리 상승 및 금융여건 긴축 등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제한함으로써 외국인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높일 것으로 전망. 이는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수급 개선에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 특히 최근 외국인의 수급이 선물 및 비차익 바스켓 매매에 집중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KOSPI 200 등 시가총액 상위 대형 및 우량주 중심의 수급 유입 나타날 가능성 높아 보임

 특징종목: 에너지, 방산 강세 vs. 항공 약세

에너지(+3.54%), 산업재(+1.61%) 등이 상승을 주도하며 S&P 500 주요 섹터 모두 상승 마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세력 단체 하마스 간 무력 충돌로 인해 국제유가가 4% 넘게 상승하자 엑슨모빌(+3.37%), 셰브론 (+2.83%), 코노코필립스(+5.53%) 등 대형 에너지 회사 외에도 할리버튼(+6.75%), 마라톤오일(+6.51%), 데본에너지(+5.51%) 등 강세.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인해 노스롭그루만(+11.10%), L3해리스(+9.79%), 헌팅턴잉걸스(+9.42%), 록히드마틴(+8.78%) 등 방산株도 강세를 보임. 

반면 국제유가 상승과 이스라엘行 항공편 취소 여파로 유나이티드항공(-4.88%), 델타항공(-4.65%), 아메리칸항공(-4.08%) 등 주요 항공사 주가는 4% 넘게 하락. 또한 테슬라(-0.33%)는 중국승용차협회가 발표한 9월 자동차판매량 데이터에 따르면 모델3와 모델Y의 판매량이 전년대비 12% 줄어 전체 판매량이 전년대비 10.9% 감소했다는 소식에 약세. 샤오펑(-10.30%)은 중동 주요 판매처인 이스라엘의 분쟁 소식에 약세를 보였고 니오(-4.36%)는 수익성 악화 우려에 하락

 

신규상장

아이엠티, 코스닥 신규 입성HBM·EUV 기술력 확보 '부각'

(https://url.kr/r17k2c)

-반도체: 아이엠티

 

유가

하마스 사태로 국제유가 단기 상승주변국 대응 따라 지속 여부 결정될 것

(https://zrr.kr/UmNH)

-유가: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한국석유

 

로봇

2030‘300판 커지는 글로벌 로봇시장결국 증시 대세주 되나

(https://zrr.kr/yheO)

-로봇: 이미지스, 두산로보틱스, 이랜시스, 대동

 

네옴시티

이달 네옴시티 수주 가시화하나윤 대통령,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와 통화

(https://zrr.kr/nvk6)

-네옴시티: 에스와이, 유신, 한미글로벌,

 

양자/초전도

테마컴백?초전도체·양자암호 관련주 급등

(https://zrr.kr/Ln7d)

-양자: 우리로, 피피아이,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초전도: 신성델타테크, 파워로직스, 서남

 

제약바이오

대웅제약한올바이오파마, 200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 공략 속도

(https://zrr.kr/UDuM)

-제약바이오: 한올바이오파마, 카나리아바이오, 알테오젠, 펩트론

 

자동차

'북미·인도가 효자' 현대차·기아, 9년만에 판매목표 넘나

((https://zrr.kr/txe6)

-자동차: 현대차, 기아차

-충전: 휴맥스홀딩스

-자율주행: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오비고, 칩스앤미디어

 

반도체

삼성·SK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장비 공급 무기한 허용된다

(https://zrr.kr/ZSEi)

-반도체: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HPSP, 넥스트칩, 파두

 

정치

퇴원길 첫 지원 유세 이재명 "국민의 무서움 확실히 증명해 달라"

(https://zrr.kr/AkKg)

-이재명: 에이텍, 동신건설, 오리엔트정공

-이낙연: 서원, 부국철강, 남화토건

-김동연: PN풍년, SG글로벌

-조국: 화천기계

-한동훈: 노을, 체시스, 태양금속, 오파스넷

🔶시간외 특징주

▶한국 주도 새로운 양자 풀랫폼 제시 시간외 양자암호 (보안주)관련주 상승
코위버(+9.97%), 한삭(+7.71%), 케이씨에스(+4.11%), 한국정보인증(+2.30%)

▶이수화학은 S-Oil, 동사와 1,28조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5.78%)

▶한올바이오파마는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 자가면역치료제 모멘텀 지속(+4.45%)

▶쎄트렉아이는 국방과학연구소와 437.89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4.01%)

▶드림씨아이에스는 지투바이오 내년 IPO및 투자 지분 가치 상승 기대감으로 (+3.4%)

▶서남은 초전도체 관련 본장이어 시간외에서 추가상승(+3.07%)

▶지엔비에스 에코는 삼성전자, 인간형 반도체 개발 계획 발표로 본장이어 시간외에서도 상승(+2.91%)

▶오로스테크놀로지는 삼성전자와 21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2.22%)

🔶시간외 하락특징주

▶엠젠솔루션은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 공모 유증공시로 하한가

▶이미지스는 단기과열종목(예고)공시와 최대주주 소유주식 장내 매도 공시로 인한 하락 (-4.34%)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61126635771608&mediaCodeNo=257&OutLnkChk=Y 

 

[속보]하마스-이스라엘 충돌에도…뉴욕증시 상승 마감

팔레스타인 자치지구인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중동정세가 극변하고 있는 가운데 뉴욕증시가 소폭 상승세로 마감했다.뉴욕증권거래소(사진=AFP)9일(현지시

www.edaily.co.kr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010500002&wlog_tag3=naver 

 

이스라엘·가자 사망자 1500명 육박…하마스 “민가 폭격 때마다 인질 처형”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교전 사흘째인 9일(현지시간) 양측 사망자가 1500명에 이르렀다. AFP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 산하 정부 공보실은 하마스의 공격으로 인한 사망

www.seoul.co.kr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3/10/10/7U2N7CGW4JG7LI5JRPY6UX234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국제 유가 장중 5.4% 급등, 안전자산 금·달러도 올라

국제 유가 장중 5.4% 급등, 안전자산 금·달러도 올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www.chosun.com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10/09/GZTJM24JTNGGTIFAPWXCEA6VF4/

 

삼성·SK하이닉스, 中공장 ‘최악’ 시나리오는 피했다…“최신 공정 적용은 불가”

삼성·SK하이닉스, 中공장 최악 시나리오는 피했다최신 공정 적용은 불가 철수·매각까지 고려했던 삼성·하이닉스 中 공장 美 VEU 선정으로 불확실성 털어내 첨단 장비 도입·투자제한 방침엔 변

biz.chosun.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96683?sid=101 

 

두산에너빌리티 분식회계 논란 … 금감원과 '공방전'

금감원 "고의로 손실 미반영" 두산측 "회계 위반은 없었다" 역대 최대 과징금 나올수도 일각선 "지정감사제 했으면 사전에 문제 드러났을 것" 금융감독원이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가 회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37794

 

정부, 올해 한국은행 ‘마통’ 113조 땡겼다...이자만 1500억원

세수 부족에 대정부 일시 대출금 제도 이용...13년 만에 최대 극심한 세수 부족에 시달리는 정부가 올해 한국은행에서 113조원이 넘는 돈을 빌려 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한은에 지급한 이자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64192?sid=101 

 

관건은 '이란'... 중동전쟁, 한미 통화정책 변수 되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국제 금융시장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국제유가가 급등해 물가를 재차 끌어올린다면, 미국 등 주요국이 긴축 강도를 예상보다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원유 선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92228?sid=104 

 

이란, “하마스 공격 관여하지 않았다” 공식 발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 대한 배후로 지목되던 이란이 이번 공격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8일(현지 시각) 주유엔 이란대표부는 “우리는 팔레스타인을

n.news.naver.com

https://www.etoday.co.kr/news/view/2290533

 

중국 ‘황금 연휴’에도 소비·여행 기대 이하 …“추가 경기 부양 필요”

국내 여행객 8억 2600만 명·관광 수입 140조 원 2019년 대비 소폭 올라…정부 예상치도 밑돌아 “부동산 불황 지속·신뢰 위축…추가 대책 내놔야”▲지난달

www.etoday.co.k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248536?sid=104 

 

대만, 中화웨이 공장 건설 지원 기업 4곳 조사

김철문 통신원 = 대만 경제부장(장관)이 중국 선전 지역에서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공장 건설 지원에 나선 대만 기업 4곳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중국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24312?sid=100 

 

尹,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와 통화 “교류-협력 강화”

윤석열 대통령이 6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와 통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이 7일 밝혔다.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249500?sid=101 

 

코트라, 10∼11일 인도서 원전 기자재 수출지원…SMR 협력 기대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원전 기자재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10∼11일 인도 뭄바이에서 열리는 '인도 원전 전시 컨퍼런스'(INBP)에서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INBP는 인도에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98725?sid=100 

 

한덕수 총리, 부산엑스포 세일즈 위해 유럽 4개국 순방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 결정을 50일 가량 앞둔 8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프랑스와 덴마크, 크로아티아, 그리스 방문을 위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출국했다. 다음달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

n.news.naver.com

https://im.newspic.kr/blUZPgG

 

'슈가플레이션' 오나… 국제 설탕가격 13년만에 최고치

border=0 src=https://images-cdn.newspic.kr/detail_image/642/2023/10/9/6b112f7f-3770-407a-afcb-9

im.newspic.kr

https://im.newspic.kr/OABObnl

 

MS, 자체 개발 AI 칩 내달 최초 공개...엔비디아 GPU 의존도 낮춘다

마이크로소프트 뉴욕 사무실 전경.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용 반도체를 다음달 최초로 공개한다.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간) 정보

im.newspic.kr

https://im.newspic.kr/5yQleeW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우크라이나 의원단과 '재건 협력' 논의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6일 한국을 방한한 우크라이나 의원단과 만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8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안드리 니콜라엔코

im.newspic.kr

https://im.newspic.kr/f1sBx3a

 

대통령실 美, 삼성·SK 中공장에 반도체 장비 반입규제 무기한 유예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반도체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im.newspic.kr

https://im.newspic.kr/y4FJZ3n

 

아이엠티, 코스닥 신규 입성… HBM·EUV 기술력 확보 '부각'

반도체 공정장비 기업 아이엠티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입성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이엠티의 매매거래는 이날부터 개시된다. 상장 당일에는 변동성완화장치(VI)가 미적용된다.

im.newspic.kr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3149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수 20만7천명…예상치 하회(상보) - 연합인포맥스

미국에서 한 주간 신규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사람의 수가 월가의 예상보다 적었다. 5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에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2천 명 증

news.einfomax.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51133

 

양자 컴퓨터 상용화 시동…양자 산업 육성법 국회 통과

‘양자 과학기술 및 양자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지난 6일 국회를 통과했다. 양자 과학기술 관련 산업 육성에 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이 법률에는 양자 과학기술과 산업 육성을 위

n.news.naver.com

https://www.mk.co.kr/news/stock/10845691

 

불닭면 흥행 삼양식품 '1조클럽' 눈앞 - 매일경제

美中등 해외비중 67% 달해현지 맞춤형 불닭볶음면 인기올해 매출 첫 1조원 넘을듯영업 이익률도 두자릿수

www.mk.co.kr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00922250940519 

 

마스크 쓸땐 몰랐다…"학생환자 급증" 무섭게 퍼지는 독감 - 머니투데이

독감(인플루엔자)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특히 초·중·고교생을 중심으로 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면역력 감소로 1년 이상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지속된 전례 없는 상황에서 추운

news.mt.co.kr

 

728x90
반응형

댓글